한국 힙합댄스의 역사
- 최초 등록일
- 2021.01.06
- 최종 저작일
- 2020.06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한국 힙합댄스의 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II. 힙합의 정의
III. 한국힙합댄스의 역사
IV. 결론
V.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1990년대 이후로 각광받기 시작한 문화인 ‘힙합’은 오늘날까지 대중들에게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문화 중 하나이다. 힙합이란 춤, 음악, 패션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화의 개념으로써 대표적으로는 MC, 디제잉(DJing), 그래피티(Graffiti), 비보이(B-Boy) 등이 있고 최근에는 비트박스, 패션 등 여러 가지 요소를 포함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난 알아요’가 대중적으로 엄청난 성공을 거두면서 힙합문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음악뿐만 아니라 춤, 패션, 언어 등 문화 전반에 걸쳐 힙합문화가 퍼져나갔고, 그 이후에는 ‘듀스’라는 힙합듀오 팀이 나오게 되면서 힙합의 열기는 계속해서 이어졌다. 그렇게 쭉 발전해온 한국의 힙합문화는 원래 10대 위주의 문화였지만, 이제 대중들의 마음까지 사로잡을 만큼 매력적인 문화로 자리매김 하게 되었고, 이러한 힙합문화의 흐름은 대중음악에도 영향을 끼치며 그 시대의 흐름과 분위기를 완전히 바꿔놓게 되었다.
이렇듯 한국 대중음악과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힙합 그리고 힙합댄스의 문화를 이제는 그저 하나의 문화현상으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보다 더 체계적으로 정리를 해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스트리트댄스 - 김상우(좋은땅)
천창훈. "한국힙합댄스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3. 서울
김진. "1990년대 서태지가 한국 대중음악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