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수, 사정, 계획, 개입, 평가 및 종결과정으로 나누어 사회복지실천과정을 구체적 사례에 적용시켜 보시오.
- 최초 등록일
- 2020.12.28
- 최종 저작일
- 2020.12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접수, 사정, 계획, 개입, 평가 및 종결과정으로 나누어 사회복지실천과정을 구체적 사례에 적용시켜 보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 실천과정과 의의
2.사회복지 실천과정의 구체적 사례
본문내용
1.사회복지 실천과정과 의의
사회복지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접수 및 자료수집과정, 사정, 계획, 개입, 종결과 평가 크게 다섯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 사회복지는 현재 새로운 형태의 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직면해있으며, 도전적인 주제들이 산재되어 있다.
최근 사회복지와 관련한 연구들에서도 사회복지의 제도나 정책, 대상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사회복지실천체계와 과정단계에서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필요하다.
1) 접수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문제를 확인하고 기관의 서비스와 정책에 부합하는 지를 판단하며 그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적합한 기관으로 의뢰를 실시하는 과정이다.
2) 자료수집 및 사정
클라이언트 그대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 사정과 동시에 이뤄진다.
주로 이야기나 면접지, 가족, 학교 등 부수적 정보, 심리검사 등을 통해 이뤄지며 클라이언트의 가족력, 개인력, 기능, 강점자원, 한계 등을 파악하는 과정이다.
3) 목표설정 및 계약
자료수집과 사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개입을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계약을 하게 된다. 목표의 단기간 달성 가능한 여부, 강한 동기가 있고 사회복지사 능력이 되는 것을 우선순위로 선정한다.
계약은 목표설정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 평가방법, 역할 등을 기술한 계획에 대해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동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4) 개입 및 점검
개입은 실질적으로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전략으로 개인수준의 개입, 집단수준의 개입, 가족수준의 개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5) 종결 및 평가
결과와 사회복지개입을 조사기법을 활용하여 사정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얼마나 개입의 결과가 실제로 안정되게 유지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이며 종결단계는 어느 단계보다 사회복지사의 민감한 기술과 반응이 필요로 한다.
참고 자료
김영숙(2008). 사례관리론. 교육과학사.
이원숙(2007). 가족복지론. 학지사.
정순둘(2005). 사례관리실천의 이해. 학지사.
김연옥 외(2005). 가족복지론. 나남출판.
김수정(2007),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 실천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김영종(2007), 사회복지조사론: 이해와 활용, 학지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