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로부터 독립을 하였지만 아직도 식민지의 역사에서 자유롭지 못한 듯하다. 예를 들어 한국이 가지고 있는 일본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감과 적대감은 우리 사회 곳곳에서 접할 수 있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서는 비단 단순한 운동 경기나 정치적 대립에서 일본을 이기고자 하는 것을 넘어 한국 사회 내에 존재하거나 과거의 역사를 상기시키는 것에 대한 적대감과 분노로 표출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친일파'라고 불리는 집단에 대한 것이다. 이들에 대한 관심은 단지 역사적 목적을 넘어 '과거 바로잡기' 라는 식의 처벌적인 목적이 들어가 있다. 하지만 이런 친일파에 대한 노골적인 적대감과 공론화에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이런 문제를 파악하지 않고 부끄러운 역사를 감추고, 청산하고자 하는 행위들은 타당성을 얻지 못 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역사적 발전을 이룰 수도 없을 것이다.필자는 이러한 논의를 위해 친일과 친일파에 대한 개념과 범주를 살펴보고, 왜 우리 사회가 흔히 친일파와 과거 청산이라는 문제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과 이런 것과 반대되는 친일파의 친일 논리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 둘을 통해 우리가 친일파에 대한 어떠한 접근과 논의가 있어야 하는지를 제시할 것이다.
목차
1. '친일'과 '친일파'의 개념과 범주2. 친일파와 청산은 왜 중요한가?
3. 친일파의 친일 논리
4. 결론 - 친일파에 대한 새로운 논의
본문내용
최근에 나온 여러 종의 친일파 연구서적은 거의 예외 없이 '친일파'의 유래를 갑신정변 단계의 개화파에서부터 끌어온다. 갑신정변 주체인 김옥균 등의 변법개화파가 일본의 힘에 의존하여 정변을 일으켰고, 이들 중 몇몇이 식민지시대에 들어 친일적 행위를 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이런 경향의 연구자들은 식민지시대 친일파의 뿌리를 그 전에 존재했던 개화기의 개화파에 연결시키다. 이와 비슷하게 많은 연구자들 역시 그 시기에 개화파가 변혁의 주체가 될 수 없었던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는 전제 아래 그들의 친일에 대한 대외 의존적 성향에서 그 개념을 찾고자 한다.하지만 이러한 역사적 접근과는 다르게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친일파'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어느 역사 시대에서나 볼 수 있는 '외세와의 친한 관계를 가지는 정치집단'이라는 의미보다 민족적 정서로는 용납될 수 없는 반역사적 행위를 한 매국노, 혹은 민족의 반역자와 같은 개념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런 수용은 옳고 그름의 가치 판단을 떠나 일단 역사적 결과와 배경에 더 가치를 두고 있다.
< 중 략 >
필자는 친일의 문제에 있어서 누가 절대적으로 옳고, 그르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 것이 아니다. 단지 현재도 논의되고, 문제가 되고 있는 친일의 문제에 관하여 우리가 새롭게 밝혀내고, 봐야할 것들에 대한 것을 말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와 사고들을 가지고 역사에 임해야 할 것이다. 단지 일제의 잔재들을 없애고, 친일파들을 파헤치고, 알린다고 해서 과거가 청산되는 것은 아니다. 역사에 존재했던 이들로 인해 현재의 사는 사람들이 그 죄까지 물려받아 친일파란 이름으로 사는 것 또한 잘 못된 것이며, 그들에게 아무런 기준과 올바른 인식 없이 사회적으로 강요하는 것도 옳지 않을 것이다. 위에 언급했던 새로운 논의들과 더불어 과거 식민지의 역사를 떳떳하게 마주하고, 인정해나가는 것이 진정한 교훈이 될 것이라 본다.
참고 자료
김도형, 「지배체제 구축기(1876~1904)의 친일파와 그 논리」, 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란 무엇인가』, (서울 : 아세아문화사, 1997), 63-71.김완선, 『친일파를 위한 변명』, (서울 : 문예춘추, 2002), 9.
정운현, 『나는 황국신민이로소이다』, 서울 : 개마고원, 1999, 19-21)
윤경로, 『한국 근현대사의 성찰과 고백』, 서울 : 한성대학교출판부, 2008, 99
홍경선, 『친일파와 일제시대 토지』, (서울 : 한울아카데미, 2006), 40.
하원호, 「일제의 대한침략기(1876~1904)에 대한 '친일'의 논리와 실태」,
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란 무엇인가』, (서울 : 아세아문화사, 1997), 23.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친일문학 레포트 4페이지
- <작문> 친일 작가 작품 교과서 등재 찬성 입장 2페이지
- <작문>친일 작가 작품 교과서 등재 반대 입장 2페이지
- [대학국어] 친일 작가들의 작품을 교과서에 싣는 것에 대한 고찰 8페이지
- 친일파와 우리 민족의 군중심리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