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 신부전과 만성 신부전 정리입니다. 목차 확인해주세요
목차
1. 급성 콩팥 기능 상실
1) 정의 , 원인, 병태생리, 임상경로, 전신증상 ,분류,진단, 치료 및 투약
2. 만성 콩팥 기능 상실
1) 정의 및 원인,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단계 분류, 병태생리, 합병증, 증상과 징후, 진단, 일반적 치료, 투석 및 콩팥 이식
3. 문제풀이 및 해설
본문내용
1. 급성 콩팥기능 상실 (Acute Renal Failure; ARF)
정의
급성 콩팥기능 상실은 급성 신부전이라고도 불리는 갑작스러운 신장기능의 상실을 의미한다.
신기능의 저하로 인해 수 시간에서 수 일사이에 전신 장기는 영향을 받으며, 질소혈증이 나타나고 수분과 전해질, 산 염기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원인
원인과 병태생리에 따라 신전성(Prerenal), 신성(intrarenal), 신후성(Postrenal)으로 나눈다.
1. 신전성 콩팥 기능 상실 (Prerenal)
신전성은 신장으로 들어오는 혈류가 감소하여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이다. 주된 원인은 출혈, 탈수, 화상, 구토 및 설사 등에 의한 갑작스러운 혈액량 감소, 신증후군, 간부전, 간경화, 심신성 쇼크, 울혈성 심부전, 심근경색, 심장압전(Tamponade), 심박동 장애, 부정맥 등으로 인한 심박출량 감소 및 저혈압 또는 저관류, 신혈관 폐쇄, 패혈증, 산증, 혈관확장제, Shock등에 의한 전신의 혈관 확장이 있다.
NSAID와 COX-2억제제 또한 콩팥의 자율조절반응을 방해하여 프로슽글란딘의 생산을 차단, 콩팥의 관류를 저하시킨다. 또한 심부전 환자들이 사용하는 ACE억제제는 급성 콩팥기능 상실을 악화시킨다.
2. 신성 콩팥기능 상실 (intrarenal)
콩팥 자체에 발생한 직접적인 손상을 원인으로 발생하며 사구체, 세뇨관, 간질의 손상이 각각 사구체신염, 급성 요세관 괴사, 급성 간질성 신염이 있다. 급성 세뇨관 괴사는 외상이나 수술, 패혈증, 심한 운동, 조영제사용, 중금속, 항생제 등의 영향으로 발생한다.
콩팥에 독성으로 작용하는 콩팥독성 항생제는 Gentamicin, tobramycin, amphotericin B, polymycin B, neomycin, kanamycin, vancomycin이다.
참고 자료
대한내과학회지 제 61권 제 4 호 급성 신부전의 진단과 치료 경북의대 내과 조동규 2001
대한내과학회지 제 82권 제 4 호 만성 콩팥병 환자의 치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최범순 2012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제 15 장 콩팥·요로계 건강문제와 간호(page 1491-1503)
이미지 출처 Google image 검색어: renin angiotensin, nephr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