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연구(교육연구법)
- 최초 등록일
- 2020.10.27
- 최종 저작일
- 2007.03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사례연구(교육연구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사례연구의 정의와 특성
Ⅱ. 사례연구 유형
Ⅲ. 사례연구 절차
Ⅳ. 사례연구의 주요 이슈
Ⅴ. 요약
본문내용
Ⅰ. 사례연구의 정의와 특성
1. 정의 :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관찰과 분석을 지향하는 질적연구의 한 방법.
Yin : 현상과 맥락 간의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 다면적 증거 원천들을 사용함으로써 현재의 현상을 실제생활 맥락 내에서 연구하는 경험적 탐구
Merriam(1988) : 질적 사례연구는 단일 사례, 현상, 혹은 사회 단위의 철저하고 전체적인 기술과 분석이다
Wolcott(1992) : 역시 전략이나 방법이라기보다 ‘현장-중심 연구의 결과-산물’로 보고 있다.
Miles와 Huberman(1994) : 한정된 맥락 속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현상
Wilson(1979) : 사례연구를 질적이고, 복잡하고, 종합적인 측면에서 어떤 실체를 기술하고 분석하는 과정으로 개념화하고 있다.
2. 목적
1) 어떤 현상에 대한 자세한 ‘기술’을 목적으로 한다.
2) 현상의 가능한 모든 ‘설명’을 목적으로 한다.
한 현상의 변이가 다른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면 인과패턴으로, 인과관계가 명확하지않다면 관계패턴으로 불린다.
3) 현상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특정 프로그램이나 조직구조,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3. 특성
1) 개별적, 특정적(particularistic) :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현상이 명료해지면 집중적 연구를 위해 한 사례를 선택하는 것을 말하며 개별적인 이유는 개별적인 특수한 상황이나 사건, 프로그램 또는 어떤 현상을 중핵적인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사례 자체가 현상을 규명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초점의 구체성은 특히 실제적 문제(질문, 상황, 일상의 실제에서 일어나는 수수께끼)를 탐구하는데 필수적이다.
2) 기술적(descriptive) : 조사하고 있는 사건이나 개체에 대하여 완전히 그리고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것 마치 그려내듯이 서술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기술적인 이유는 연구대상이 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기술을 연구 업적으로 삼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김석우ㆍ최태진 공저(2006),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장택수(2004), 교육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손충기(2006), 교육연구방법론, 태영출판사
길병휘 외 11인 공저(2001), 교육연구의 질적 접근,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