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도덕적 회의주의에 대한 성찰
- 최초 등록일
- 2020.10.08
- 최종 저작일
- 2019.10
- 2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소개글
- A+ 레포트
- 도덕적 회의주의에 관한 에세이
목차
없음
본문내용
소크라테스는 “착하게 사는 것이 손해를 볼 수 있고, 나쁜 사람을 도와주는 결과를 가져올지라도 도덕적 삶은 인간의 훌륭함을 드러내는 징표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오늘날 전통적인 규범들의 구속력은 급속히 와해되어 가고, 도덕적 규범과 윤리사상들 역시 도덕적 현실 못지않게 혼란스러운 문제상황에 봉착해 있다. 도덕적 회의주의, 역사주의, 경험론 등이 그러한 윤리사상 정립을 위협하는 철학적 경향들이다. 본인은 본 글에서 근대 이후에 등장한 도덕적 회의주의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극복 방안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사전에서는 회의주의를 ‘일반적으로 또는 특정 대상에 대해서 불신하는 의심의 태도 또는 기질’이라고 정의한다. 회의주의를 태도로 본다면, 도덕적 회의주의는 도덕에 대해 불신하는 의심의 태도이다. 예컨대, 현대 한국사회에서는 정치인, 연예인, 기업인 등 사회 각 부문의 권위자들이 비도덕적 방법으로 이득을 취한 행위가 방송되어 국민들 은 행동과 이론의 불일치로 말미암아 도덕적 가치에 대해 회의적인 경향을 보이게 되었 다.
참고 자료
김종근. (1992). 국민논리-논리적 회의주의의 본질과 극복. 고시계, 37(12), 329-331.
김창래. (2006). 고르기아스의 세 번째 난제에 대한 해석학적 대응. 한국수사학회 월례 학술발표회, , 13-33.
임홍빈. (1994). 실천적 판단력의 탐구. 성곡논총, 25(1),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