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高麗史』
· 『太祖實錄』
· 『定宗實錄』
· 『太宗實錄』
· 『世宗實錄』
· 『世祖實錄』
· 『明宗實錄』
· 『日本行錄』
· 『海東諸國記』
· 『保閑齋集』
· 민덕기, 『前近代 동아시아 세계의 韓·日』, 경인문화사, 2007
· 손승철, 『조선시대 한일관계사 연구-교린관계의 허와 실』, 경인문화사, 2006
· 하우봉, 『조선시대 한국인의 일본인식』, 혜안, 2006
· 한문종, 「조선 전기의 회고와 전망」, 한일관계사학회 엮음, 『한일관계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국학자료원, 2002
· 한문종, 「세종대 이예의 대일교섭 활동」, 한일관계사학회 엮음, 『통신사 이예와 한일관계』, 새로운사람들, 2006
· 강동국, 「조선 전기의 교린 개념」, 『개념과 소통』21, 한림과학원, 2018
· 강제훈, 「조선 초기의 조회 의식」, 『조선시대사학보』28, 조선시대사학회, 2004
· 나종우, 「韓國中世對日交涉史硏究」, 『檀國大學校 大學院』,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2
· 민덕기, 「朝鮮朝前期の 日本國王 觀- 敵禮 的觀點より」, 『朝鮮學報』132, 朝鮮學會, 1989
· 방기철, 「朝鮮初期 交隣國 使臣의 位次 - 朝·日關係를 중심으로」, 『사학연구』79, 한국사학회, 2005
· 심민정, 「조선 전기 對日 交隣體制 - 일본 사신 접대를 중심으로」, 『민족사상』4, 한국민족사상학회, 2010
· 유재춘, 「世宗代 崔浣事件과 朝日關係의 推移」, 『한일관계사연구』10, 한일관계사학회, 1999
· 이은영, 「조선시대 대일본 국서의 서술전략과 정치적 함의 – 일본의 대조선 국서와 비교하여」, 『古典文學硏究』, 한국고전문학회, 2014
· 이채연, 「조선전기 대일 사행문학에 나타난 일본인식」, 『韓國文學論叢』18, 한국문학회, 1996
· 이화영, 「15세기 조선과 交隣國의 賓禮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장순순, 「朝鮮前期 倭館의 성립과 조ㆍ일 외교의 특질」, 『韓日關係史硏究』15, 한일관계사학회, 2001
· 조정효, 「『東文選』에 나타난 麗末鮮初 지식인의 對日認識」, 『조선통신사연구』13, 조선통신사학회, 2011
· 하우봉, 「朝鮮初期 對日使行員의 日本認識」, 『국사관논총』14, 국사편찬위원회, 1990
· 하우봉, 「조선시대의 통신사외교와 의례문제」, 『조선시대사학보』58, 조선시대사학회, 2011
· 한문종, 「조선전기 日本國王使의 朝鮮通交」, 『한일관계사 연구』21, 한일관계사학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