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급성심근경색 케이스(문헌고찰부터 약물 간호진단2개)
- 최초 등록일
- 2020.07.06
- 최종 저작일
- 2020.01
- 2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급성심근경색 문헌고찰부타 약물, 간호기록, 간호진단 2가지 등 상세하게 적힌 A+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요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합병증
8) 치료 및 간호
2. 간호 정보 조사지
3. 간호사정 도구: NANDA 분류체계
4. 진단적 검사
5. 약물 투여
6. 간호진단
7. 간호과정
1) 항응고요법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2) 혈류흐름감소와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심장
본문내용
1) 질병의 정의
정의
-관상동맥 폐색으로 심근 혈류가 갑자기 차단되어 심근에 괴사를 일으키는 질환
-죽상경화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종종 심장발작(heart attack)야기 ->허혈성 심질환의 마지막 단계
혈류가 개통되지 않아 그 부위의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것을 심근경색이라 한다.
2) 원인 및 위험요인
원인
-관상동맥의 죽상경화, 플라크의 파열, 혈전, 혈류 폐색
-관상동맥경련, 혈소판 응집, 동맥내벽의 색전 등
-심장으로 가는 산소의 80~90%가 갑자기 심하게 감소할 때 발생
-허혈 발생 시 일정시간 내 혈류 회복되지 못하면 심근조직의 손상과 괴사, 경색 초래
-주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반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드물게 관상동맥의 색전증,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도 발생된다.
①조절 불가능한 요인
연령
● 연령이 증가할수록 심장동맥질환 발생 확률이 높아짐
● 이 질환으로 사망하는 사람의 80%가 65세이상임
가족력 , 유전적 소인
● 심장동맥벽의 선천적 결함은 플라크를 쉽게 생성
●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가족력이 있으면 관상동맥질환에 더 쉽게 이환됨
성별
● 폐경기 이후 혈청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키는 estrogen이 감소하여 여성의 심장동맥질환 발병률이 중년기에 비해 50대 이후에 상승하지만 남성의 발병률이 2~3배 더 높음
● 경구피임약복용 , 흡연 및 고혈압이 있는 여성은 관상동맥질환 발생위험이 더욱 높아짐
<중 략>
#1. 항응고요법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주관적 자료
“가슴이 답답해요”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네요”
객관적 자료
-5/9 CCU에서 Heparin과 isoket0.1% 50mg/50ml를 mix해서 대상자에게 IV로 투여함.
-5/10 urine bag에 hematuria 보임
간호목표
- 단기목표
대상자에게 출혈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