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증가와 HMR
- 최초 등록일
- 2020.06.28
- 최종 저작일
- 2020.06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1인가구증가와 HMR"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1인 가구의 현황과 변화
2. HMR 식품
3. 1인가구 증가의 따른 HMR 식품의 발전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1인가구의 정의와 개념은 많은 논문과 연구에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통계청의 정의에 따르면 1인가구는 ‘1인가구는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로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이다. 또 이명화(1인 가구를 위한 주방 특성 연구, 2012)는 1인가구를 ‘현재 법적으로나 사실적으로 배우자가 없는 단독세대로 분리되어 생활하는 가구, 독립된 주택에서 홀로 사는 가구로 배우자 없는 독신 가구와 배우자가 있더라도 동거하지 않거나 경제생활을 공유하지 않는 가구. 별거를 선택한 단독가구, 유학 등으로 인한 기러기 가족, 주말부부 등 홀로 사는 가구’로 정의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총가구수는 2000년 1450만 7천 가구에서 2040년2230만 6천 가구로 증가 하다가 2045년 2231만 8천 가구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 중 1인가구는 2000년 226만 2천 가구에서 2045년 809만 8천 가구로 증가해 전체 가구 비율의 36.3%를 차지 할 것으로 예상되며 총가구수가 줄어들고 1모든 가구 수가 줄어들지만 1인가구의 수 와 비율은 빠른 속도로 늘어나가고 있다.
참고 자료
이명화. 「1인 가구를 위한 주방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2.
오경수. 「1인 가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HMR 선택속성과 소비태도에 미치는 영향」 ,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