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주의와 식민지의 물적 동원 - ‘총동원체제’와 물적 동원계획의 전개를 중심으로 -
- 최초 등록일
- 2020.06.05
- 최종 저작일
- 2020.05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900원

판매자appa**** (본인인증회원)

소개글
"일본 제국주의와 식민지의 물적 동원 - ‘총동원체제’와 물적 동원계획의 전개를 중심으로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총동원계획 형성기의 물적 동원계획
1. 물자동원계획 초기 구상 및 실시의 수급불균형
2. 「임시자금조정법」의 조선적용과 조선총독부
3. 생산력확충계획의 조선실시와 원료 중심산업의 집중화
Ⅲ. 총동원 계획 강화기의 물적 동원계획
1. 엔블록 내 물자 수송중심, 물동계획 전환과 조선 육상수송의 강화
2. 식민지 내 자금흡수 강화, 전쟁관련 산업으로 집중
3. 물동계획 파탄과 생산력확충계획의 지체
Ⅳ. 총동원계획 파탄기의 물적 동원계획
1. 물동계획 파탄과 중점주의 강화
2. 자금흡수 강화와 발행고 급증
3. 생산력확충계획의 광산물 생산 집중화
Ⅴ. 결 론
본문내용
20세기 이후 근대자본주의의 전쟁은 제국주의국가의 역량을 총동원하는 전시경제체제 구축을 전제로 할 때 가능한 것이었다. 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세계사에 등장한 이러한 전쟁 개념은 대전 중에 이루어진 폭약, 기관총, 전차 등 대량살육병기의 발달로 인한 전쟁의 장기화와 지구전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가 모든 분야의 총력을 전쟁 수행이 맞춰 결집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총동원체제의 전쟁 상은 2차 대전에 돌입한 일제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고 일제의 식민지였던 조선의 지배정책에도 곧바로 적용되었다. 필자는 총동원체제를 ‘계획’과 ‘법적강제’로 구분해 분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는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닐뿐더러 ‘계획’은 ‘법적강제’를 기반으로 하고 ‘법적강제’는 ‘계획’의 일환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서로 맞물리는 것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정합적인 구분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해당 시기 기존연구를 통해 볼 때 전시체제기의 폭력성을 직접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문제의식 속에서 ‘법적강제’ 즉, 동원의 강제성과 통제에 집중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보니 이러한 강제를 낳은 ‘계획’에 대한 구체적 분석은 최근에서야 비로소 진행되기 시작했다. 필자는 기존 연구의 이와 같은 경향성이 가지는 문제로 종합적 개관에서 세부적 분석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역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던 점을 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즉, 총동원체제를 구성했던 일본과 조선 등 식민지를 연결하는 ‘계획’을 먼저 구체화 한 뒤에 이를 추진하기 위한 법적강제를 분석하는 것이 효율적인 연구의 순서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생각이다.
본고에서는 총동원체제를 구성하는 양 축 중에서 ‘계획’에 주목하고자 한다. ‘총동원체제’를 통할하는 ‘총동원계획’은 전시동원 체제 형성의 설계도일 뿐만이 아니라 ‘체제’ 운영의 지침이라고까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