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과 탄압의 일제강점기ppt
- 최초 등록일
- 2016.12.13
- 최종 저작일
- 2013.06
- 19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500원

판매자sokg**** (본인인증회원)
6회 판매
소개글
저항과 탄압의 일제강점기 : 항일 운동과 일제의 탄압 정책
- 1910년대 헌병경찰 통치 : 무단통치
- 1920년대 문화 통치 : 민족 분열 통치
- 1930년대 민족 말살 정책
목차
1. 저항과 탄압의 일제강점기 : 항일 운동과 일제의 탄압 정책
1) 1910년대 헌병경찰 통치 : 무단통치
2) 1920년대 문화 통치 : 민족 분열 통치
3)1930년대 민족 말살 정책
2. 항일 운동
본문내용
1910년대의 한국사회: 헌병경찰 통치(무단통치)
배경 : 한일합방조약
1. 총독부 설치 : 총독은 육․해군 대장 출신으로 입법․사법․행정․군사의 모든 권한 장악 ,한국을 일본군부의 지배하에 두고, 군사방식에 의한 무단통치를 자행하도록 함.
2. 군인에 의한 통치
무관총독 : 모든 총독은 무관인(모두 육군대장, 사이토만 해군대장)
헌병경찰 : 즉결처분권, 태형집행, 조선 태형령(1912) - 조선인에 대한 재판 없이 바로 즉결 처분할 수 있는 권리
일본인 교사와 관리들이 모두 제복을 입고 칼을 차고 다님.
3.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 박탈
신문지법(1907) : 모든 신문지(언론) 탄압
출판법(1909)
보안법(1907) : 모든 불법 치안행동(반일 투쟁 등) 탄압
4. 교육기회 박탈
1차 교육령 : 충량한 국민육성, 국어=일본어, 보통.실업.전문교육 실시(고등교육x)
사립학교령(1911) : 사립학교 금지->개량서당
-> 서당규칙(1918): 서당을 개량해 교육 탄압, 금지
참고 자료
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