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교육사-아리스토텔레스의 실재론과 교육(한국교육에 필요한 서양교육법)
- 최초 등록일
- 2020.05.01
- 최종 저작일
- 2019.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과목 서양교육사 주제의 레포트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재론과 교육을 바탕으로 한국교육에 필요한 서양교육법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그리스의 교육
2.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재론
3. 실재론의 교육관
4. 실재론의 교육방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재 한국은 경제, it,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빠른 속도로 발전해가며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외국인들에게 ‘한국’을 생각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뭐냐고 묻는다면 뭐라고 대답할까? 스마트폰, 의료, 엔터테이너 많은 답이 있을 것이고 그중에는 교육도 있을 것이다. 우리 한국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다른 나라의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2012년에 발표된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에서 한국은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수학 1위, 읽기 1~2위, 과학 2~4위의 높은 성적을 기록했다. 이는 자랑스러운 결과일까? 이와는 반대로 한국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도는 최 하위권이었다. 이런 결과를 보고 한국의 교육 체계가 올바르다고 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학생들의 흥미발달과 지식습득에 중심을 두는 몇몇 선진국들의 교육과는 달리 한국의 교육은 오직 입시와 취업을 위한 틀에박힌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에 jtbc에서 방영한 드라마 ‘스카이 캐슬’에서도 나왔듯이 한국의 교육의 중심에는 입시가 자리 잡고 있다.
참고 자료
김성균(2017년).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 이론”.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채오병(2007년). “실증주의에서 실재론으로 : 역사연구 논리의 전환” 한국사회학
중앙대학교(2018년).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6권 제4호)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박의석(2003년). “한국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09045 오마이뉴스, 김행수 (201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