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의 안정적인 자립생활을 위한 성공취업 전략(취업 프로그램 개발)
- 최초 등록일
- 2020.02.27
- 최종 저작일
- 2019.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시각장애인의 안정적인 자립생활을 위한 성공취업 전략(취업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사업명
II. 사업의 필요성
1. 대상자 욕구 및 문제점
2. 지역 환경적 특성
3. 경험적 근거
III. 서비스 지역, 서비스 대상 및 클라이언트 수
1. 서비스 지역
2. 서비스 대상
3. 서비스 대상 선정기준 및 방법
4. 클라이언트 수
IV. 사업 목적 및 목표
V. 사업내용
1. 세부사업내용
2. 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3. 담당인력 구성
4. 사업 진행 일정
5. 홍보 계획
6. 지역자원 활용계획
VI. 예산계획
VII. 향후운영계획
V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사업명 : 시각장애인의 안정적인 자립생활을 위한 성공취업 전략
II. 사업의 필요성
1. 대상자 욕구 및 문제점
1) 시각 장애인의 취업률이 너무나도 저조한 상황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5세 이상 장애인 인구는 약 249만 명. 그 중 취업자 수는 86만 명으로, 취업률은 34.5%에 불과하다. 15세 이상 전체 인구 대비 취업률 (61.3%)의 절반 정도다. 통계청이 밝힌 장애인 실업률은 6.6%(6만1천 명)이며 이 또한 전체 인구 실업률인 4%보다 높은 수치다.
2) 대부분의 일자리가 불안정한 비정규직
현재 장애인 임금노동자 10명 중 6명은 비정규직 신분이다.
3) 정부의 졸속적인 정책으로 질 낮고 불안정한 일자리가 양산
현재 장애인고용공단은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지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장애인 10명 이상, 상시근로자 중장애인 30% 이상 고용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사업장을 ‘표준사업장’으로 인증하고, 최대 10억 원까지 무상지원금을 제공한다. 때문에 사업주들이 지원금을 목적으로 무늬만 표준사업장인 시설을 설립하기도 한다.
2. 지역 환경적 특성
현재 2018년 대한민국의 시각장애인 인구수는 252,957명으로 남성이 150,315 이고 여성이 102,642명이다.(통계청, 전국 장애유형별, 성별 등록 장애인수) 그중 서울특별시 기준으로 시각장애인 인구수는 41,900명, 남성이 25,320명, 여성이 16,580명이다. 서울시 영등포구의 사회복지관의 수는 3곳이며, 시각장애인의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곳은 2곳이다.
시설의 부족과 인력의 부족,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시각장애인에 대한 취업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현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3. 경험적 근거
북촌에서 어둠속의 대화라는 활동에 참여한 적이 있는데, 어둠속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이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일반인 참여자들을 대동하는 매니저들이 시각장애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참고 자료
통계청, 보건·복지, 복지, 장애인실태조사
통계청, 보건·복지, 복지, 장애인현황
통계청, 고용·임금, 고용, 기업체장애인고용실태조사, 장애인 근로자 고용현황
중부일보, (월소득 100만원 미만 ‘57%’… 생활고에 신음하는 경기도 시각장애인), 명종원 기자
에이블뉴스, (2019년 성남시 장애인 취업박람회’ 11월 13일 개최), 이슬기 기자
에이블뉴스, (스타벅스 슈퍼바이저 꿈꾸는 시각장애 문수씨), 정윤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