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학사1. 고대 문학의 개념
2. 고대 문학의 형성 배경
3. 고대 문학사
4. 고대 문학의 특징
시가 문학
1. 시가 문학의 전개
2. 고대 가요
3. 향가
서사 문학
1.서사 문학의 전개
2. 설화(說話) 문학
3. 한문 문학
(고려시대)
문학사
1. 고려 문학의 개념
2. 고려 문학의 형성 배경
3. 고려 문학사
4. 고려 문학의 특징
5. 시가 문학의 전개
6. 향가계 가요
7. 경기체가
8. 고려 속요
서사 문학
1. 서사 문학의 전개
2. 패관 문학(稗官文學)
3. 가전(假傳)
(조선전기)
문학사 개관
1. 조선 전기 문학의 개관
2. 조선 전기 문학의 형성 배경
3. 조선 전기 문학사
4. 조선 전기 문학의 특징
시가 문학
1. 악장(樂章)
2. 가사(歌辭)
3. 시조(時調)
4. 한시(漢詩)
서사 문학
1. 고대 소설
2. 수필. 비평 (隨筆. 批評)
3. 번역(飜譯) -언해
(조선후기)
1. 시대 개관
2. 특징
3. 소설 시대의 전개
4. 시가 문학의 변이
5. 기록 문학의 발달
6. 한문 문학의 변모와 실학파 문학 위항 문학
7. 판소리 민속극의 성장
(개화기)
- 전환기에서의 저항과 창조 -
1. 시대 개관
2. 개화기 문학의 사명
3. 특징
4. 창가
5. 신체시
6. 신소설
7. 역사 전기 문학
8. 창극
9. 신파극
(1910~20)
현대 문학의 태동기(1908~1919)
1. 문학사(文學史)
2. 특징
3. 문학의 양상
현대 문학의 모색기(1919~920년대 말)
1. 문학사(文學史)
2. 특징
3. 문학의 양상
(1930-45)
1930년대의 문학
■ 문학사(文學史)
■ 특징
■ 문학의 양상
1. 시(詩)
2. 소설(小說)
3. 희곡과 시나리오
4. 수필(隨筆)
5. 평론(評論)
1930년대 말~1945년(일제 암흑기)의 문학
■ 문학사(文學史)
■ 특징
■ 문학의 양상
1. 허무와 절망이 형상화되었다.
2. 전통에 대한 관심이 표출되었다.
3. 저항과 자기 성찰의 문학이 싹텄다.
4. 통과제의의 소설이 나타났다.
5. 자연 친화의 시를 썼다.
■ 문예지
(민족수난기)
1. 시대 개관
2. 갈래별 개관
(8.15직후)
1. 문학사(文學史)
2. 문학적 특징
3. 문학의 양상
4. 주요 발표지
본문내용
고려 문학의 주류는 (한문학)에 있었다. (과거) 제도의 실시와 중국 문물의 수입으로 한문학이 융성했기 때문이다.향가의 전통은 균여대사의 (보연십원가)를 거쳐 예종의 (도이장가)에 이어졌으나, 한문학의 발달로 한문을 자유자재로 구사하게 되자 향가계 문학은 사라지게 되었다. 반면 한자에 의한 귀족들의 한시, 시화(詩話), 설화(說話) 등의 다양한 한문학이 문학계를 지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밖에도 (가사), (속요,俗謠), (시조 ,時調)등의 문학이 형성되었는데, 이것들은 전대에서는 볼 수 없었던 독특한 것들이었다.
경기체가는 (귀족) 문학으로, 정치적 혼란기에 있었던 문인들이 (한문) 어휘의 나열과 이두식 후렴구로 그들의 의식 세계를 노래한 것이며, 고려 속요는 고려 문학의 진수라 할 수 있는 것으로,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투영된 것으로 (구전)되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문자로 정착되었다.
시조는 고려말에 발생한 (3)장 (6)구의 단가(短歌)로, 우리 고유의 노래이며 국문학의 대표적인 형식이다. 이 때에 이루어진 것은 모두 (구전 문학)이였으며, 이것도 조선조에 와서 비로소 문자로 정착되었다.
4. 고려 문학의 특징
(1) (과거) 제도의 시행과 교육 기관의 설립으로 (한문학)은 크게 융성한 반면, 국문학은 위축되었다.
(2) 전반적으로 한문으로 자유롭게 사용하는 상류층의 (귀족) 문학과, 그렇지 못한 평민 문학으로 분립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용비어천가 레포트 5페이지
- [문학] 조선시대 가사문학 2페이지
- [국문학] 조선 전기 국문학과 후기 국문학의 내용과 특징에 관한 고찰 20페이지
- [문학] 조선전기 문학 , 조선후기 문학 3페이지
- [고전문학]가사의 발생과 정립, 전기 가사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