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영달, 「주권과 인권에 대한 홉스와 로크이론의 비교연구」, 『평화연구』, 제10호(2001).
· 좌종흔, 「토마스 홉스의 사상에서 본 절대적 국가권력과 국민의 자유」, 『법철학연구』, 제2권(2001), 81~108쪽.
· 이동임, 「형사상 낙태죄에 관한 합법화 과정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2.
· 이선순, 「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부산대학교 협동과정 학위논문』, 2003.
· 임웅, 「낙태죄의 비범죄화에 관한 연구」, 『비교법연구소 17권. 2호』, 성균관 대학교 비교연구소, 2002.
· 장영민, 「형사법상의 Gender」, 『法學論集』. 梨花女子大學交 法學硏究所』, 2001.
· 정현미, 「낙태의 허용범위와 허용절차규정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 로크, 이극찬, 『시민정부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 마키아벨리, 임명방, 『군주론』, 삼성출판부. 1994.
· 홉스, 한승조, 『리바이어던』, 삼성출판부, 1994.
· 이상영, 이재승, 『법사상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3.
· 장 쟈크 루소, 최석기,『인간불평등 기원론 사회계약론』, 동서문화사, 2007.
· 토마스모어, 주경철,『유토피아』, 을유문화사, 2007.
· R. 니스벳/C.B. 맥퍼슨, 강정인, 김상우,『에드먼드 버크와 보수주의』, 1997.
· 볼프강 케스팅, 전지선, 『홉스』, 인간사랑, 2006.
· 김용환, 『홉스의 사회정치철학』, 철학문화연구소, 1999.
· 유정갑, 『홉스의 국가론과 평화사상』, 철학과현실사, 2005.
· C.B. 맥퍼슨, 황경식,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소유적 개인주의의 정치이론』, 박영사, 2002..
· 김영환, 『法哲學의 根本問題』, 홍문사, 2006.
· 최종고, 『법철학의 기본문제』, 박영사, 2007.
· 박은정,『현대의 사회문제와 법철학』, 교육과학사, 1993.
· 마이클 왈쩌, 정원섭, 『정의와 다원적 평등』, 철학과현실사, 1999.
· 로널드 드워킨, 장영민 , 『법의 제국』, 아카넷, 2004.
· A.A스미스, 김득룡, 『베버와 하버마스』, 서광사,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