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교육론 - 듣기의 특성에 대하여 여러 가지를 뽑아 본 후, 듣기교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듣기의 특성을 지도의 측면에서 설명하세요.
- 최초 등록일
- 2019.08.21
- 최종 저작일
- 2019.08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sinbm**** (본인인증회원)
5회 판매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교육론_듣기의 특성에 대하여 여러 가지를 뽑아 본 후, 듣기교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듣기의 특성을 지도의 측면에서 설명하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듣기’라는 개념은 1900년대 초반 청취 음성학이 의사소통 연구에서 중요한 돌파구로 간주되었던 시기에 ‘듣기를 뒤에 사용되도록 머리에 청취 신호를 믿을 만하게 저장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1920~30년대에는 인간 심리에 대한 조사 연구의 발달이 이루어지면서 ‘신비한 인지적 기제에 의해 통제되는 대체로 무의식적인 과정’으로 이해하였다. 1940년대에는 ‘듣기를 메시지의 성공적인 전송과 그것을 다시 생산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1950년대에는‘듣기는 효과적으로 저장되고 인출되기 위해 입력물을 분할하고 딱지를 붙이는 것’으로 보았다. 1960년대는 ‘듣기는 화자와 청자 두사람이 내면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진단법’으로 자리매김 되었고, 1970년대는 글로벌리즘과 인류학에서 새로워진 관심으로 ‘문화적 개념 틀을 환기하는 것’으로서 듣기에 대한 자리매김이 받아들여졌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사전_듣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 교육론(한울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