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와 장자
- 최초 등록일
- 2019.08.19
- 최종 저작일
- 2017.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노자(老子)
(1) 老子
(2) 노자의 실체에 대한 의견
2) 노자의 사상 : 『도덕경(道德經)』
(1) 도덕경
(2) 도덕경 사상의 핵심 ① 비판과 부정의 철학
(2) 도덕경 사상의 핵심 ② 역설과 만물전변의 논리
(3) 정치적 이상 ① 소국과민
(4) 정치적 이상 ② 목적지향의 제왕통치술
(5) 도(道)의 개념
3) 장자(莊子)
(1) 『장자(莊子)』
(2) 장주(莊周, B.C. 359-289, 370-300?)
(3) 안심입명(安心立命)의 초속추구와 문명비판
본문내용
- 노장사상 : 장자 사상은 노자와 결합시켜 흔히 노장사상이라 지칭한다. 즉, 노장사상의 한 부분으로서 다루어진다. 노장사상은 도를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추구해야 될 가치로 생각하는 ‘도가사상’이다. 공자, 맹자, 순자, 유교의 변용·재해석(유가 사상)은 중국과 동아시아 세계에 있어서 주류 당론, 지배이데올로기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주류 당론과 지배이데올로기를 정면에서 비판하면서 그것이 아우르지 못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 주류 당론의 문제를 예리하게 지적하고 있는 것이 도가 사상이다.
- 유가 : 유가사상은 자기가 문제라고 생각하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열정적으로 노력을 해야 된다고 말한다. 사람으로 태어난 것은 소중한 사명을 받은 것이기 때문에 자기의 목숨을 중히 여기면서 자기를 완성시켜 나가야 한다. 또,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게 만들기 위해 자기가 깨달은 대로 실천하려고 노력해야 된다. 이에 따라 개혁가로서의 사명도 때에 따라서는 감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유가는 사명감, 꿈, 목표를 가지고 포기하지 않고 계속 달려가는 적극적인 삶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길이라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이러한 사람을 대표하는 것이 공자이다.
- 도가 : 이에 반해 도가는 그런 공자를 어리석은 사람, 잘난 체 하는 사람, 안 될 줄 알면서도 어리석은 노력을 하는 사람으로 냉정하게 조롱하듯이 바라보는 숨어사는 은자들이 있었던 것이다. 맹자만 방관자의 입장을 자기들의 처신과 태도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발전시켜가는 과정에서 심도 있는 이념으로 정립되게 된 것이 노자와 장자 사상이다. 바라보는 시각이나 방향성이 완전히 달라진 것이다.
- 노자사상 : 도가 사상의 근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 노자(老子)
(1) 老子 :
- 어르신이라는 뜻. 평균 수명이 30~40년밖에 안 되는 그때에 천운을 타고나 60~70년을 살던 사람, 그래서 세상의 여러 가지 경험을 해 본 지혜로운 사람을 노자 또는 어르신이라 일컫는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