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학 - 지적장애아 교육 발표자료
- 최초 등록일
- 2019.04.24
- 최종 저작일
- 2018.04
- 23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000원

목차
1. 지적장애의 개념 및 정의
1) 지적장애의 개념
2) 지적장애의 정의
3) 지적장애의 정의에 포함된 핵심 내용
2. 지적장애의 발생원인
1) 생의학적 위험요인
2) 사회적 위험요인
3) 행동적 위험요인
4) 교육적 위험요인
3. 지적장애의 출현율
4. 지적장애의 분류
5. 지적장애 아동의 특성
1) 인지발달
2) 학습 특징
3) 심리 및 사회·행동적 특성
4) 언어 및 의사소통적 특성
5) 신체적·건강상의 특성
6. 지적장애 아동의 중재
1) 교육적 중재
7. 교사의 역할과 자세
본문내용
-과거에 주로 사용되던 ‘정신지체’라는 명칭은 경멸적 용어로 인식되기 때문에많은 조직이나 단체들은 지적장애란 용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나 관점은 변하기 마련이고, 장애를 지칭하는 용어들이 점점 순화되어가는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이런 맥락에서 전문가들과 단체들은 ‘정신지체’ 대신에 ‘지적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법에서도 지적장애라는 용어를 쓰고있다.
1. 지적장애의 개념 및 정의
1) 지적장애의 개념
학교환경에서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학교에 재학중이던 지적장애 학생들은 교육가능 정신지체 또는 훈련가능 정신지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 용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 이러한 분류가 선입견과 편견을 가져올 수 있다는 비판이 있기 때문이다.
▶ 오늘날 지적장애라는 용어가 미국의 전문가 집단들로부터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지적장애의 정의
(1) 한국의 법적 규정
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의 규정
▶ 지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 대상자를 “지적 기능과 적응행동상의 어려움이 함께 존재하여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②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의 규정
▶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에서는 지적장애인을 1,2,3급으로 나누고 각각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2) 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협회(AAIDD)의 정의
▶ “지적장애란 지적기능성과 개념적·사회적·실제적 적응기술로 표현되는
적응행동 영역에서 유의하게 제한성을 보이는 것이다. 이 장애는 18세 이전에 시작된다.”
(3) DSM-5의 정의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는 개념, 사회, 실용 영역에서 지적 기능 및 적응기능의 결함이
발달기에 발병하는 장애이다. 다음 3가지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A. 추리, 문제해결, 계획, 추상적 사고, 판단, 학업, 경험 학습 등과 같은 지적기능의 결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