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아동을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아동을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2.22 최종저작일 2015.02
10P 미리보기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아동을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
  • 미리보기

    목차

    Ⅰ. 긍정적인 행동지원
    1.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정의
    2.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특징
    3.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주요 요소
    4.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계획 수립 절차 및 고려 사항

    Ⅱ. 환경 재구조화: 문제행동 예방의 첫 걸음

    Ⅲ. 문제 행동 이해하기

    Ⅳ. 행동지원 실행절차

    Ⅴ. 감각조절 기능을 가진 문제행동

    Ⅵ. 제언

    본문내용

    긍정적인 행동지원이란 장애인이 보이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뿐 아니라, 그에게 있어서 꼭 필요한 사회적, 학습적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개별화 전략으로, 새로운 긍정적인 행동의 지도를 통해 장애인이 할 수 있는 기능의 범위를 확장하려는 교육적 측면과, 그 장애인이 속한 다양한 환경의 재구성을 도모하는 체제개선 측면을 동시에 포함한다(Carr et al., 2002; Turnbull et al., 2002). 따라서 문제행동의 감소라는 1차적 목적에 더하여, 장애인 자신과 그 가족, 그리고 주변인의 삶의 질 향상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지원체계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특수교육 관련법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교육법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이 1997년에 개정될 때, “자신 또는 타인의 학습을 방해하는 행동을 가진 아동의 경우, 그 행동을 다루기 위하여 긍정적인 행동중재 및 지원 전략을 고려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되면서 이 조문에 언급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이라는 것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된 것은 사실이나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시작은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0년대 초, 미국 사회에서 시작된 탈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의 움직임에 따라 많은 장애아동 및 성인들이 기숙제 특수학교나 수용시설 대신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게 되었는데, 이들의 문제행동은 지역사회 통합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었고, 자연스럽게 행동수정 이론과 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당시의 연구결과논문이나 기타 임상보고서를 살펴보면, 문제행동을 보였을 때 혐오스런 자극(예: 손이나 다리를 때리기, 억지로 운동시키기, 얼굴에 물 뿌리기, 토한 것 다시 먹게 하기)을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그 행동을 감소시키고자 했던 것을 볼 수 있다.
    70년대 후반부터는, 이렇게 혐오적 처치를 사용하는 중재에 대한 우려와 반대의 의견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전장애아교육법(Education of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EHA)의 제정

    참고자료

    · 정대영(2001). 문제행동의 기능평가와 행동지원. 파주: 양서원. 97.
    · Linda M. Bambara · Lee Kern공저, 이소현, 박지연, 박현옥, 윤선아 공역,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 행 동지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계획 및 실행, 학지사(2008)
    · Kaufman, H. M. (2008).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ren and youth (9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Prentice-Hall. 139-140
    · Carr, E. G., Dunlap, G., Horner, R. H., Koegel, R. L., Turnbull, A. P., Sailor, W., Anderson, J. L., Albin, R. W., Koegel, L. K., & Fox, L. (2002). Positive behavior support: Evolution of an applied science.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4(1), 4-16, 20.
    · Carr, E. G., Levin, L., McConnachie, G., Carlson, J. I., Kemp, D. C., & Smith, C. E. (1997). Communication-based intervention for problem behavior. Baltimore: Brookes.
    · Carr, E. G., & Smith, C. E. (1995). Biological setting events for self-injury.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1, 94-98.
    · Janney, R., & Snell, M. E. (2000). Behavioral support. Baltimore: Brookes.
    · Jones, V., Dohrn, E., & Dunn, C. (2004). Creating effective program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Boston: Allyn & Bacon.
    · Reichle, J., & Johnston, S. S. (1993). Replacing challenging behavior: The role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13(3), 61-76.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