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의 역사 그래프 자료정리
- 최초 등록일
- 2019.02.17
- 최종 저작일
- 2018.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원시, 고대국가
2. 초기 기독교 시대
3. 중세 전기
4. 중세 후기
5. 근대(암흑기)
6. 사화개혁과 간호개혁
7. 나이팅게일(영국)
8. 미국
9. 독일
10. 조선시대
11. 근대(구한말)
12. 일제시대
13. 미군정기와 대한민국 정부수립기
14. 한국전쟁기
15. 전후 복구기
16. 한국경제 근대화기(1960-1979)
17. 발전기(1980-1990)
18. 2000년대 이후
본문내용
원시, 고대국가
인도-승려나 브라만 계층, 높은 도덕적 기준 요구, 환자 돌봄을 천직으로 여김
차라카 삼히타-간호사 자격제시(약물준비에 관한 지식, 영리함, 환자에 대한 헌신, 심신 청결)
초기 기독교 시대
전문교육체계 부재
여집사단, 로마의 귀부인 사업가들, 남녀 집사들
병들고 가난한 이웃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널리 확대
간호가 가정의 영역에서 공적 영역으로 확대
<중 략>
한국경제 근대화기(1960-1979)
간호기록부를 진료기록부에서 분리, 별도로 작성 및 보관
한국간호사윤리강령 발표-전문직이 갖추어야 할 요건 : 지식, 기술, 전문직 단체, 윤리성
다양한 수준의 간호교육 혼재-간호고등기술학교, 3년제 간호학교, 4년제 간호대학과
간호사의 경우 대한간호협회에 의무적으로 회원가입
업무분야별 간호원의 자격 제도화-보건, 마취, 정신분야 간호원, 1년 이상의 과정을 이수한 자에 대해 별도 자격증 교부
높은 이직율(연간 이동율 50% 이상), 실무에서 간호수행 어려움
간호사의 해외진출로 국가경제발전에 기여, 간호인력 부족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