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육과정 , 체육교육과정론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8.11.28
- 최종 저작일
- 2018.10
- 15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판매자kwy****
3회 판매

목차
1장 체육과 교육과정의 이해
2장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3장 체육과 교육과정의 사조와 모형
4장 체육과 교육과정의 다양한 측면
5장 우리나라 체육과 교육과정의 역사
본문내용
신체활동 지식의 구조
1. 개념적지식: 명제적 지식 (ex. 농구의 기원, 역사, 규칙 등) – 참, 거짓
2. 수행지식: 방법적 지식 (ex. 패스방법, 경기방법 등의 지식) - 어떻게 하는지
3. 관계 지식: 신체활동을 잘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기 자신 및 타인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그것에 기초하여 행동하거나 대응할 수 있는 의지와 능력에 관한 지식(ex. 소속팀이 불리한 상황에서 자기 자신을 통제하는 자기 조절에 관한 지식, 동료협동) – 높은수행력을 위한 상호관계 속 지식
교육과정의 개념
-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하는 일련의 계획된 활동,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선정해서, 어떻게 조직하여, 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교육의 전체적인 계획이라고 포괄적으로 정의
교육과정의 유형
- 접근적방법: 내용, 경험, 계획, 결과로써의 교육과정
- 구분적방법: 의도, 전개, 실현된 교육과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진리와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 교육, 지식이나 학문을 강조, 모든교과와 교재
2. 학문중심 교육과정
- 지식의 구조나 학문의 구조를 강조 (학습의 전이를 높여 고등지식과 기초지식간의 간격을 좁히는 전통주의입장)
3. 인지과정중심 교육과정
- 지식의 형성은 인지과정과 그 발당과정, 지식< 문제해결력, 창의력, 비판적사고력 등 사고방식을 학습
4. 경험중심 교육과정
- 교사와 학생 그리고 교과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학생이 경험하는 것
- 개인과 사회를 동시에 중시(한 사람의 경험)하고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중시
5. 인간중심 교육과정
- 인간의 성장 가능성을 최대한 신장시키고 개인적으로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개인의 자아 실현을 지향하는데 궁극적 목적. (생활경험을 중시)
6. 사회재건 교육과정
- 현재와 미래의 인간 조건과 사회를 능동적으로 개선하는 주체적 역할을 담당해야한다 주장
- 사회의 중요한 문제들을 분석하여 이를 실천에 옮기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고 사회에 초점을 두고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