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임상실습사례보고서 급성충수염
- 최초 등록일
- 2018.11.21
- 최종 저작일
- 2017.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병동 실습 보고서
1. 문헌고찰 보고서
2. Case Study 보고서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본문내용
병태생리
급성충수염은 충수에 생긴 급성 염증을 말한다. 충수염이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충수의 입구가 막혀서 충수가 부어오르고 혈액순환이 차단되면서 염증이 생기는 병이다. 급성 충수염은 충수 주위 임파선이 부으면서 충수 입구가 막히는 경우가 가장 많으나 대변이나 다른 이물질이 충수의 입구를 막기도 한다.
원인 및 임상적 증상
<원인>
충수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대부분 충수돌기 개구부가 폐쇄되면서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충수염은 모든 연령층을 침범하며 10대의 경우에는 점막하 림프소포(lymphoid follicle)가 지나치게 증식하여 폐쇄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며, 성인의 경우 대변이 딱딱하게 굳어 덩어리가 된 분석(fecalith)에 의해 폐쇄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폐색 후에는 부종, 감염과 허혈이 발생한다.
<증상>
95% 이상에서 복통이 발생한다. 이 외 식욕부진, 오심, 구토(80%)가 있으면서 국소적으로 복부 압통과 발열이 있다. 복통은 초기에는 상복부 통증이 모호하게 있다가 점차 우측 하복부로 국한되어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의 특성은 막연한 통증이 복부 중앙에서 시작해서 나중에는 우측 하복부의 McBurney 지점 에서 반동성 압통(rebound tenderness)을 느낀다. 이는 이 지점을 깊이 누른 다음 손을 뗄 때 나타나는 통증을 뜻한다.
충수돌기의 위치에 따라 우측 옆구리에 통증이 있을 수도 있으며, 골반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이급후증(배변 후에도 변을 보고싶은 증상) 및 치골 위쪽의 모호한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외에도 장 폐색 증상, 복막염, 변비, 설사 등을 주 증상으로 호소할 수도 있다.
진단적 검사
-영상의학적 소견
혈액 검사상 백혈구수가 10,000/mm³ 이상이며 급성충수염 환자의 1/3에서는 정상 수치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백혈구 수치만으로 진단을 하는 것은 위험하고 그중 호중구가 75% 이상 상승한다. 소변 검사는 대개 정상이나 충수의 위치가 뱃속 뒷 쪽에 있을 때는 주변을 지나는 요관에 염증이 파급되어 소변으로 미량의 적혈구가 나올 수도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