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철학] 행정과 행정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연구방법
- 최초 등록일
- 2018.07.16
- 최종 저작일
- 2018.05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행정철학(행정철학론) 과목의 연구보고서로 행정학에 대한 철학적 인식, 과학적 행정학과 철학적 행정학, 철학적 인식과 행정학의 연구방법을 담았습니다. 다른 보고서와 같이 A+을 받았습니다.
목차
Ⅰ. 행정인식론의 개념
Ⅱ. 행정학에 대한 철학적 인식
Ⅲ. 과학적 행정학과 철학적 행정학(가치와 사실의 문제)
Ⅳ. 철학적 인식과 행정학의 연구방법
본문내용
Ⅰ. 행정인식론의 개념
ㅇ 어떤 문제를 진단하고 그 원인을 살펴보는 것은 인식론에 관한 문제이다
ㅇ 인식론(epistemology)
- episteme(지식) + logos(이론, 논리, 방법론)
- 인간은 어떻게 알게 되는가? (앎의 방식)
- 인식의 성과는 실천에 이용
※ 인식의 성과는 문제를 진단하고 원인을 밝힌 후에 처방을 위한 실천에 이용될 수 있다.
ㅇ 행정인식론
- 인식론의 철학적 함의를 행정논의에 반영하는 것이 행정인식론
- 행정인식론은 행정현상에 대한 앎의 방식(Way of knowing)을 탐구하는 것
※ 행정현상을 어떻게 설명하고 이해하는가 그 방식을 탐구
Ⅱ. 행정학에 대한 철학적 인식
ㅇ 철학적 인식은 인생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가치있는 것들을 실천할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행정인식의 문제는 과학의 경계를 넘어 철학의 문제가 됨
ㅇ 행정을 제대로 알고 또 행정의 현실을 최선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인과성에 의거한 원인의 규명에 못지 않게 철학적 인식과 성찰이 필요
참고 자료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행정학과 ‘행정철학(Administrative Philosophy)’ 교과목 강의자료 참조
『행정학적 상상력의 인문적 기초』,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임의영 교수, 한국행정학회, 2013
『행정학의 민주적 국정운영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 해석적 패러다임 관점에서』, 강남대학교 김명환 교수, 독립논단, 2007
『한국행정학의 적실성 문제와 행정규범학, 몇 가지 제안』, 경기대학교 김명환 교수, 한국행정학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