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 최초 등록일
- 2021.05.25
- 최종 저작일
- 2019.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행정학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행정학의 접근방법의 의의)
Ⅱ. 본론 (행정학의 접근방법의 유형)
1. 역사적 접근방법
2. 법률적·제도론적 접근방법
3. 신 제도론적 접근방법
4. 생태론적 접근방법
5. 행태론적 접근방법과 탈행태론적 접근방법
6. 체제적 접근방법
7. 현상학적 접근방법
Ⅱ. 본론 (종합적 논의)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행정학의 접근방법의 의의)
접근방법이란 어떤 사물에 내재해 있는 사실·진리·법칙 등을 알려고 하거나 어떤 현상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내려 할 때 그것에보다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연구방법을 의미한다(하동석 외, 2010). 즉, 접근방법은 무엇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에 관한 견해와 관점을 의미한다.
접근방법에는 크게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남궁근, 2001, 심준섭, 2006).
실증주의적, 계량적, 객관적 또는 경험주의적 패러다임을 계승하는 양적 접근은 주로 통계분석 기법에 의존한다. 이에 반해 주관적 접근, 해석학적 접근, 자연주의적 접근 등으로 불리는 질적 연구는 심층면접, 포커스집단면접, 참여관찰(문화기술지), 내용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채택하고, 응답자의 언어와 관점에 기반하여 주제와 프레임을 발견하며 자료를 해석하는 데 초점을 둔다.
참고 자료
남궁근, 「한국행정현상의 연구방법」,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825-839., 2001)
이종수 외, 「새 행정학」, (대영문화사, 2012)
이종수 외, 「한국행정의 이해」, (대영문화사, 2018)
윤견수, 「한국 행정학의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반성과 제안」, (한국행정학보, 39(2),1-22, 2005)
하동석 외,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용어사전」, (새정보미디어.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