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라오스 기독교역사, 라오스 선교

"라오스 기독교역사, 라오스 선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37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8.07.09 최종저작일 2017.01
37P 미리보기
라오스 기독교역사, 라오스 선교
  • 미리보기

    목차


    I. 서 론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II. 라오스지역 연구
    A. 라오스의 지리적, 민족적 배경
    1. 란쌍왕국 이전시대(BC? -AD 14세기)
    2. 란쌍왕국 시대(1353-1890)
    3. 프랑스 식민지(1890-1945)와 일본 그리고 미국전쟁
    4.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B. 라오스의 종교법

    III. 라오스의 선교역사 및 루앙파방지역의 기독교
    A. 라오스 선교역사
    1. 로마 가톨릭의 전래와 역사
    2. 개신교 선교역사
    1) 1860년대 다니엘 맥길버리
    2) 1900년도 초 스위스 형제단 및 여러 단체들의 도전
    3) 개신교 C&MA의 1950-1975
    4) 1975년 공산화 이후
    5) 1990년대 이후 한국선교사들의 현황
    B. 라오스 종교현황 및 기독교에 대한 정부입장
    C. 루앙파방 지역의 개신교 현황

    IV. 결 론
    A. 요약
    B. 제언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라오스는 인도차이나 반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위로는 중국과 미얀마, 좌측으로는 태국, 우측에는 베트남 그리고 아래로는 캄보디아가 자리 잡고 있는 바다가 없는 내륙 국가이며 1975년도 공산정권이 들어선 이후 여전히 강력한 공산주의를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삼고 있고 소승불교를 거의 국교 형식으로 신봉하고 있는 나라이며 가장 선교하기 어려운 나라로 구분하고 있다.
    국제종교자유에 대한 미국위원회의 자료에 의하면 2005년도 해제하였던 종교자유훼손 주목국가에 2009년부터 다시 라오스를 리스트에 올렸을 정도로 여전히 강력하게 기독교를 핍박하는 나라의 하나로 기록하고 있다.
    매년 발표되는 국제 열린문선교회의 기독교핍박지수(World Watch List of Open Doors)를 보면 라오스는 2000~2007년까지 2위, 3위를 차지하였고 2008년부터 상황은 조금씩 나아져 7, 8, 9위를 차지하다가 2011년에는 10위에 머물고 있다.
    또한 라오스에서 선교하고 있는 선교사의 숫자는 서양 및 한국선교사를 합하여 100여 가정을 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은 라오스가 기독교 선교의 불모지 중에 하나임을 대변해주고 있으며 이는 라오스가 복음사역보다는 지역사회 개발 등 문화사역의 필요성을 강변하고 있다고 하겠다.

    <중 략>

    3 개국의 북쪽은 중국, 서쪽은 태국과 미얀마 그리고 동쪽과 남쪽은 바다를 접하고 있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히말라야 산맥에 속하는 산지로 북부와 서북부는 고원지대이고 중부는 거의 산지이며 안남산맥을 형성하고 있으며 산맥 사이에 평야가 있는데 이를 안남평야라 부른다.
    인도차이나 반도는 77만km2로 베트남이 33만, 라오스가 24만 그리고 캄보디아가 18만을 차지하고 있다. 서쪽에 태국, 동쪽에 베트남을 끼고 남쪽에는 자매 왕국인 캄보디아가 있고 북쪽으로는 미얀마와 중국이 있는 라오스는 산악이 대부분이며 곳곳에 밀림지대가 있다.

    참고자료

    · 미션성경 편집위원회 편. 「미션성경」서울: 도서출판 새성경, 2002.
    · Fritz Rienecker. 「헬라어 신약성경」 경한수 편. 서울: 세풍설교연구소, 1995.
    · New International Version. The Holy Bible. Colorado Springs: International Bible Society, 1988.
    · 개역개정판 NIV한영해설성경 편찬위원회 편. 「NIV 한영해설성경」서울: 아가페출판사, 2007.
    · Bosch, David J. Transforming Mission. New York: Orbis Books, 1996.
    · Cho, David J. New Forces in Missions. The Official Report of the Asia Missions Association. Seoul: East-West Center, 1976.
    · Committee for Planning and Cooperation. Foreign AID Report 2000-2001. Vientiane: Education Printing Enterprise, 2002.
    · Department of Planning and Investment Luangpabang province. Luangpabang Overview. Luangpabang: DPIL, 2008.
    · Edward, C Pentecost. Issues in Missiology. Michigan: Baker Book House, 1982.
    · Evans, Grant. Secular Fundamentalism & Buddhism in Laos. Seoul: The Center for Area Studies, Seoul National Univ, 1996.
    · George, W Peters. A Biblical Theology of Missions. Chicago: Moody Press, 1972.
    · Halpern, Joel M. Government, Politics, and Social Structure in Laos. New Haven: Yale Univ Press, 1964.
    · Hesselgrave, David J. New Horizons in Missions. Michigan: Baker Book House, 1979.
    · Ishii, Yoneo. Sangha, State, and Society: Thai Buddhism in History. Honolulu: Univ of Hawaii Press, 1986.
    · Kenneth, Scott Latourette. A History of The Expansion of Christianity Vol Ⅵ The Great Century: North Africa and Asia 1800A.D to 1914 A.D. New York: Zondervan, 1970.
    ·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Lao PDR Statistics Year Book 2009. Vientiane: Lao Department of Statistics, 2010.
    · Ro Bong Rin Ed. Christian Suffering in Asia. Taiwan: Evangelical Fellowship of Asia, 1989.
    · Roffe, G Edward, “Laos.” The Church in Asia. 391-409. Edited by Donald E. Hoke. Chicago: Moody Press, 1975.
    · Shin Hong-Shik. Principles of Church Planting. Bangkok: Kanok Bannasan, 1989.
    · State Planning Committee. Basic Statistics of LAO PDR. Vientiane: Education Printing Enterprise, 2000.
    · Tapp, Nicholas.; Michaud, Jean; Culas, Christian; and Lee, Gary Yia. Hmong/Miao in Asia. Chiang Mai: Silkworm books, 2004.
    · Thiessen, John Caldwell. A Survey of World Missions. Chicago: Moody Press, 1970.
    · Vannasopha, Maha Khampeuy. Religious Affairs in Lao P.D.R. Vientiane: Education Printing Enterprise, 2005.
    · Winburn, T Thomas and Rajab, B Manikam. The Church in Southeast. New York: Friendship Press, 1956.
    · Zasloff, Joseph J. The Pathet Lao: Leadership and Organization. Lexington: D.C. Heath & Co, 1973.
    · 김광수. 「아시아 기독교 확장사」서울: 기독교문사, 1973.
    · 김명혁. 「선교의 성서적 기초」서울: 성광문화사, 1997.
    · 김명혁. 「현대교회의 동향」서울: 성광문화사, 1995.
    · 김성태. 「선교와 문화」서울: 이래서원, 2003.
    · 김성태. 「세계선교 전략사」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4.
    · 김영수 외 10인. 「동남아의 종교와 사회」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1.
    · 김태연. 「전문인 선교사로 나가자」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4.
    · 김태연. 「전문인 선교사를 깨워라」서울: 이래서원, 2001.
    · 박영호. 「선교학」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8.
    · 박용민. 「차트 선교학」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 박종구. 「세계선교, 그 도전과 갈등」서울: 신망애출판사, 1994.
    · 박종무. 「안데스에 남긴 선교의 발자국」서울: 쿰란출판사, 2005.
    · 방동섭. 「선교 없이 교회 없습니다」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0.
    · 변창남. 「지역사회 선교전략 Model」서울: 도서출판 미드웨스트, 2002.
    · 성남용. 「선교현장 리포트」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6.
    · 손석원. 「선교와 현대사회」서울: 문서선교 성지원, 2001.
    · 양승윤 외 7인 공저. 「동남아 미래의 국가 라오스. 캄보디아」서울: 한국외국어 대학 출판부, 1999.
    · 이동휘. 「불편하게 삽시다 선교하며 삽시다」전주: 바울선교회, 2008.
    · 이성희. 「미래목회 대예언」서울: 규장, 1998.
    · 이성희. 「미래사회와 미래교회」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 이원설, 문 영식 공저. 「21세기를 향한 비전과 리더십」서울: 신망애 출판사, 1999.
    · 이은무. 「한국선교를 깨운다」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6.
    · 이태웅. “범세계교회 시대의 새로운 세계선교,”「21세기 선교」목회와 신학 편집부 편. 서울: 두란노아카데미, 2010.
    · 장중렬. 「교회성장과 선교학」서울: 성광문화사, 1998.
    · 전재옥. 「기독교와 이슬람」서울: 이화대학교 출판부, 2005.
    · 전호진. 「문명충돌 시대의 선교」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3.
    · .전호진. 「선교학」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92.
    · 전호진. 「아시아 기독교와 선교전략」서울: 도서출판 영문, 1995.
    · 전희근. 「단기 선교에서 배우는 하나님」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6.
    · 정명관. 「도전 받는 현대 목회와 선교」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4.
    · 정민영 외 공저. 「21세기를 향한 한국선교의 비전」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6.
    · 정승회. 「태국선교 길잡이」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3.
    · 정준기. 「선교적 문화비평」서울: 새한기획출판부, 1993.
    · 최영기. 「가정교회로 세워지는 평신도 목회」서울: 두란노, 1999.
    · 한국복음주의 선교신학회 편. 「선교를 위한 문화인류학」서울: 이래서원, 2001.
    · 한화룡. 「도시 선교」서울: 한국기독교학생회 출판부, 1993.
    · 황태연. 「아시아 선교론」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