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지예, 진천홍, “방송포맷표절에 대한 중국 현행법상 대응방안”,『인하법률』제5호, 2016.
· 전종규, “중국 新한류열풍의 경제학”,『삼성증권』, 2014.
· 吉賢珍, “韓流 현상과 담론에 관한 연구”,『인천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9.
· 한정정, 최철영,“중국 예능 방송의 한류 영향 분석 연구”,『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35호, 2014.06.
· 윤재식, “중국의 한국 콘텐츠 수용 현황과 정책”,『한국방송협회』방송문화 제401호, 2015.
· 허진, “중국의 ‘한류(韓流)’ 현상과 한국 TV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한국방송학회』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6-1호, 2002.4.
· 이문행,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의 특성”,『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2011.6.
· 박영일,김주연, “국가별 한류 콘텐츠 수출동향과 한국 상품 소비인식 분석”,『한국콘텐츠진흥원』kocca포커스, 2013.05.25.
· 임형민, 박주연, “한류 콘텐츠인 드라마 시청 동기와 문화 선호도에 관한 연구”,『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사회과학연구 제 27집 4호, 2011.12.
· 김은영,김정덕,장상식,박현덕, “한류의 현주소와 확산 방안”,『한국무역협회』Trade Focus 32호, 2015.08.
· 정광철, 조성룡, 노형신, 김경훈, “한류 콘텐츠의 올바른 중국시장 진출 방안 연구”,『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한국과학예술포럼 16권0호, 2014.6.
· 황낙건, “중국 내 K-DRAMA 특성이 한류 문화콘텐츠 만족과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 논문지 제8권 1호, 2014.3.
· 안창현, “한국 문화콘텐츠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인문콘텐츠학회』인문콘텐츠 제17호,2010.3.
· 김필수, “신한류와 기업의 중국 진출 전략 : 한류 콘텐츠와 라이프스타일을 활용한 진출 전략”,『포스코경영연구원(구 포스코경영연구소)』CHINDIA Plus 70권0호, 2012.
· 루 하이보, “중국에서의 ‘한류’ - 현황과 미래”,『영상예술학회』영상예술연구Vol.10 , 2007.05.
· 이문행, “한국 방송 콘텐츠 포맷 수출 현황 및 리메이크 제작 성과”, 『방송문화진흥회』방송연구지원사업 연구보고서, 2015.
· 정상철, “콘텐츠 수출구조 분석 및 연관산업에의 영향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KCTI, 2012,
· 고정민, “드라마 대장금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문화산업연구 제9권 제1호, 2009.6.
·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사무소, “중국 콘텐츠 산업동향”, 『한국콘텐츠진흥원』중국사무소 종합보고서, 2014.3.17.
· “드라마별그대&닥터이방인,중국에‘한류’를전하다”,삼성자산운용
· , http://www.samsungfundblog.com/archives/31235. 2016.05.03 검색
· 히든싱어 짝퉁, 중국의 한국 예능 프로그램 표절,
· http://blog.naver.com/kipracafe/220531176207 2016.05.03 검색
· 중국이 갑이다│① 쯔위 사태가 보여주는 중국 한류의 징후,
· http://ize.co.kr/articleView.html?no=2016012412507219931, 2016.06.05 검색
· “송중기 중국반응, 인기가 궁금하다”,http://blog.naver.com/moolmangstar/220720989413,
· 2016.06.05 검색
· 정현일,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경제적 파급효과”,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실, 2014.7
· http://www.kcti.re.kr/webzine2/webzineView.action?issue_count=34&menu_seq=4&board_seq=1.
· 2016.06.05 검색
· 김홍조, “중국 별그대 치맥 열풍, 치킨과 맥주 매출 급증”,『조세일보』, 2014.03.03.
· 김진석, “김수현, 中 영향력 있는 인물 톱5 선정 '외국인 유일'”,『일간스포츠』, 2015.11.16.
· 박설이,“태양의 후예' 中서 회당 1억뷰 달성…거센 열풍”,『tvreport』. 2016.03.14.
· 고규대,“송중기, 중국 인기 연예인 1위..한달 만에 순위 껑충”,『이데일리』, 2016.03.15.
· 정진미,“중국판 런닝맨 '달려라형제' 시청률 5%돌파… 韓中 합작 예능 통했다”,『경인일보』, 2015.06.16.
· 박향아,“이광수, '올해의 아시아스타 상' 수상 !!”,『뉴스팩트』, 2016.01.08.
· 장윤정,“김종국, '런닝맨' 인기 업고 대륙까지 달린다”,『아주경제』, 2015.03.19.
· 신원선,“한류는 예능을 타고…해외 포맷 수출이 효자노릇 톡톡”,『메트로신문』, 2016.02.06.
· 성선해, “中 '안녕하세요' 표절에 강경 대응 "법적 대응 불사”,『티브이데일리』, 2016.01.12.
· 성선해,“중국 유력 방송사, '개그콘서트' 표절? KBS 법적대응 불사하겠다",티브이데일리, 2014. 09.30.
· 조민정,“톱스타·사전제작 중무장… 2016 中시장 공략하는 드라마들”,연합뉴스, 2016.01.10.
· 양승준,“中 사전심의에 韓 드라마 사전제작 맞대응”,한국일보, 2015.06.10.
· 신진아, “[초점]쪽대본 사라지나? 100%사전제작 진짜이유 '중국'”,뉴시스, 2016.02.011.
· 염희진,“줄 잇는 ‘드라마 100% 사전제작’ 기대半 우려半”,동아닷컴, 2015.12.09.
· 홍샛별,「규제 강해진 중국 안방극장… 한중 합작 드라마로 뚫는다」,『배국남닷컴』, 2014.09.18.
· 강은구,“중국 아오란그룹 방문, 경제효과 304억원”,한국경제, 2016.04.10.
· 김현정,“[中 아오란 효과]4500명 치맥파티·면세점 한류상품 싹쓸이”,아시아경제, 2016.04.05.
· 이상일, “송혜교·송중기 '태양의 후예' 기존 멜로물과 다른 성공비결”, 미디어펜, 2016.06.06.
· 이유지, “중국 홀린 '태양의 후예', 한국 경제 견인한다…블룸버그”,『포커스뉴스』, 2016.04.12.
· 임혜선, “‘태양의 후예’ 경제효과 3조원 넘어서나”,『아시아경제』, 2016.03.29.
· 고찬수,“중국이 한국 방송계에 미칠 영향 3가지”,『PD저널』, 2016.01.28.
· 송성각,“아이디어로 황금알을 캐는 ‘방송 포맷’ 산업”,『광주일보』, 2016.04.11.
· “[사설]중국 배만 불리는 한류 두고만 볼 건가”,『경향신문』, 2014.10.14.
· 주진, “박근혜 대통령 ‘태양의 후예, 창조경제·문화융성 모범사례’”,『아주경제』, 2016.04.11.
· 전민기, “중국 내 제2의 한류 전성기, 국내 천연화장품 브랜드도 진출”, 『News1』, 2016.05.20.
· 김지선, “‘대장금’ㆍ’별그대’ 이을 한류 드라마는?”,『연합뉴스TV』, 2016.01.03.
· 추진혁, “'별에서 온 그대' 천송이, 이모티콘으로 재현 "그대로 옮겨놨네"”,『스포츠한국』, 2014.01.23.
· 김진선, “방송 전과 그 후…중국에 무슨 일이”,『MBN스타』, 2016.03.21.
· 김진선, “‘중국 인기 방송 72.45%가 韓 예능 혈통’ 中 보도“,『MBN스타』, 2015.03.31.
· 김진선,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한 중국 작품, 뭐가 있을까”,『MBN스타』, 2014.09.01.
· 정미하, “'차이나머니' 광풍 "방송계, FTA가 반갑지 않아"”, 『아이뉴스24』, 2015.01.13.
· 조민정, “'상속자들' 중국서 영화화…연말 개봉 목표”,『연합뉴스』, 2016.02.23.
· 박재덕, “팬엔터, 中 절강화책미디어그룹과 '킬미 힐미' 공동 제작”, 『조이뉴스24』, 2014.09.01.
· “[사설] '문화 수출 1조원 시대' 제대로 살려가려면”,『서울경제』,2014.12.25.
· 허주열, “콘텐츠시장 삼킨 차이나머니 대공습”, 『머니위크』, 2016.03.26.
· 이광재,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 드라마 등장 후 판매 급증”, 『CCTV뉴스』, 201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