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7.07.23 최종저작일 2017.07
14P 미리보기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1.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연구동기 및 목적
    2.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연구방법

    Ⅱ. 본론
    1.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소개
    (1)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의 배경 및 필요성
    (2)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의 목적
    (3)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의 내용

    2.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의 협상분석
    (1) 협상의 참여자
    (2) 협상의 과정
    (3) 협상의 특성

    Ⅲ. 결론
    1. 협상분석 결과

    본문내용

    Ⅰ. 서론
    1.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연구동기 및 목적

    협상은 크게 두 가지 상황에서 발생한다. 첫째는 상호간 대립되는 갈등을 해결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협상은 Zero-sum의 형태가 대부분이고 협상 당사자의 전략에 따라서 Win-win 형태가 되기도 한다.
    둘째는 협상 당사자의 필요에 의한 협력을 제안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협상은 기본적으로 협상 테이블이 당사자 간 공동의 이익을 위해 열리기 때문에 Win-win의 형태를 띠고 있다.
    글로벌화 된 지금 대부분의 국가들은 상호간의 협력과 동맹을 통해 자국과 상호간의 이익을 극대화 시키는 전략을 사용한다. 그러나 여전히 국가 간 정치․경제적 갈등은 존재한다.
    세계 대전을 두 차례 겪은 후, 발전된 군사적 기술에 따라 제 3차 세계대전의 발발을 우려하는 상황에서 세계의 각 국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화를 선택한다.

    한국의 경우 주변국과의 묵은 감정과 갈등이 존재하는데 그 중 가장 직접적으로 국익 및 안보에 영향력을 끼치는 대상은 북한이다.
    대화를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일종의 ‘대세’인 현 시대에도 북한과의 대화를 통한 갈등해결은 어렵다. 따라서 한국은 현재 차선책으로 북한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과의 대화가 어려운 국가는 비단 한국뿐이 아니다. 북한과 한국의 주변국을 비롯해 세계 각 국이 북한의 행태로 인한 국제적 불안을 안고 있다.
    결론적으로 협력을 통해 상호간 이익을 추구하는 세계의 흐름에 따라 한국 또한 국익과 안보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불안요소를 해소하기 위하여 협력적인 협상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협력을 위한 협상의 대표적인 사례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이다.
    이 협정은 한때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고 화두가 되었던 이슈 중 하나로 찬․반 논란이 거센 협상사례이다.
    본 협상에 대한 반대 입장은 당시 아베 일본 총리가 과거사에 대해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은 채 ‘전쟁을 할 수 있는 일본’을 만들려 하는 상황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체결을 추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견해를 보인다.

    참고자료

    · 나무위키,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https://namu.wiki/w/%ED%95%9C%EC%9D%BC%20%EA%B5%B0%EC%82%AC%EC%A0%95%EB%B3%B4%ED%8F%AC%EA%B4%84%EB%B3%B4%ED%98%B8%ED%98%91%EC%A0%95
    · 경향신문, “한일, 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GSOMIA) 협정안 [전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11231107001&code=910100
    · FACTOLL,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에 대해 꼭 알아야할 9가지”,
    · http://factoll.com/page/news_view.php?Num=3700
    · 코나스넷,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의 오해와 진실”,
    · http://konas.net/m/article/article.asp?idx=47361
    · 국방부, “한·일 군사비밀정보 보호협정”,
    · http://www.mnd.go.kr/user/boardList.action?boardId=I_4492133&siteId=mnd&page=1&boardType=02&boardSeq=I_4496251&command=albumView&warningYn=N=&id=
    · 한국일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서둘지 말아야”,
    · http://www.hankookilbo.com/v/d085e87e62094f62a412491b67af0b31
    · 경기신문,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서두르는 이유가 뭔가?”,
    ·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5107
    · 영남일보, “한일군사정보협정 급하게 서두를 일 아니다”,
    ·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61110.010310832430001
    · 코나스넷, “대한민국 보수가 지켜야 할 가치”,
    · http://www.konas.net/article/article.asp?idx=47947
    · 한국일보, “북한 핵실험 넋 놓고 바라만 볼 것인가”,
    · http://www.hankookilbo.com/v/83c870fe12dd48e49c32001fc82d8204
    · 뷰스앤뉴스, “<조선><동아> "일본과 군사정보협정 맺어야"”,
    · http://www.viewsnnews.com/article?q=136021
    · 매일신문, “국가 위기라고 국방부가 할 일도 못하게 해서야”,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6082&yy=2016
    · 국민일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더 이상 미룰 것 없다”,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643164&code=11171111&cp=nv
    · 한국일보, “한일 군사정보협정,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 http://www.hankookilbo.com/v/30e7d31d55ba46fc8f305ce030775106
    · 데일리신문,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서명자, 한국은 장관 일본은 대사?...국방부 "관례상 하자 없어"”,
    · http://daily.hankooki.com/lpage/politics/201611/dh20161123105730137430.htm
    · 동아일보, “비핵화를 위한 한국판 ‘스타워즈’가 필요하다”,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3003702
    · KDN 자주국방네트워크,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무엇이 문제인가?”,
    · http://www.koreadefence.net/detail.php?number=1937&thread=22r01
    · 네이버 지식백과, “킬체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89762&cid=43667&categoryId=43667
    ·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제”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43377&cid=43667&categoryId=43667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