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문법론(고영근, 구본관) 1부, 2부 요약
- 최초 등록일
- 2017.07.11
- 최종 저작일
- 2017.06
- 6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9,900원

판매자slowhunter (본인인증회원)
4회 판매

목차
1. 제1부 총론
2. 제2부 형태론
본문내용
제1장 문법과 문법 연구
1.1 문법이란 무엇인가
문법이란 문장을 형성하는 규칙이다. 문법을 연구하는 우리말 연구의 한 분야를 문법론 또는 문법학이라고 한다. 한 언어의 문법을 설명하는 데는 규범문법적 태도와 기술문법적 태도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규범문법은 말이나 글을 어떻게 써야 하고 어떻게 쓰면 안 된다는, 옳고 그름의 규범을 제공한다. 반면에 기술문법은 옳고 그름의 규범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 현상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데 이를 학문문법이라고도 말한다. 문법연구의 초기에는 규범문법적 태도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시대가 내려올수록 기술문법적 태도를 지향하여 왔다.
1.2 문법의 영역과 연구방법
우리말 문법의 연구 분야는 우선 시간과 공간의 관점에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시간적으로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현대어를 중심으로 한 현대어문법, 15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한 중세어문법, 그 밖에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어문법, 17세기 이후에서 현대 이전까지의 국어자료를 대상으로 한 근대어문법 등 일정한 시기에 따른 공시적 문법이 성립되어 있으며 이들을 종으로, 곧 통시적으로 잇는 역사문법, 곧 문법사가 성립되어 있다. 한편 공간적 관점에서는 서울 방언을 중심으로 한 공통어문법과 동남 방언, 서남 방언, 중부 방언, 영동 방언,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제주 방언 등을 대상으로 한 방언문법이 성립되어 있고, 이들을 횡으로, 곧 공간적으로 잇는 현대 방언비교문법이 가능하다. 그리고 우리말의 공간적, 시간적, 지역적인 모든 변종을 한 그릇에 담는 총체문법도 구상할 수 있다. 모든 언어들이 궁극적으로 비슷한 질서 위에서 형성되어 있다는 관점을 취한다면 언어 보편성을 추구하는 관점의 문법, 곧 보편문법의 성립도 논의될 수 있다. 또한 외국어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언어 학습에 대비한다는 뜻에서 우리말 문법 구조와의 차이점을 구명하는 대조문법이 오래전부터 성황을 이루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