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한국 사회의 1인 미디어 트렌드에 대해 분석한 레포트입니다.유튜브, 아프리카티비와 같은 플랫폼을 중심으로 1인 미디어 트렌드의 등장 배경, 영향력,순기능과 역기능, 발전 방향에대해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서론2. 본론
1) 1인 미디어 트렌드 소개
2) 1인 미디어 트렌드의 배경 분석
(1) 기술적 배경
(2) 정치·경제적 배경
(3) 심리적 배경
(4) 사회문화적 배경
3) 1인 미디어의 영향 분석
4) 1인 미디어 트렌드에 대한 비판적 검토
5) 1인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대안 및 미래전망 분석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최근, 한국에는 1인 미디어 시대가 도래하였다. 1인 미디어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이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자, 이들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메커니즘이라고 정의내려진다(정완진, 김양하, 이석근, 민승기, 2008). 개인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은 1인 미디어 시대에 살고있는 사람들에게 일상적인 일이 되었다. 이때, 직접 제작한 콘텐츠는 거창한 것이 아니다. 영화를 보고난 후 블로그에 올리는 포스팅, 학교 축제를 촬영한 영상, 유명 가수의 노래를 편곡해서 부른 영상 모두 이러한 1인 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다. 최근, 1인 미디어 트렌드는 블로그 포스팅과 같은 텍스트 중심에서 벗어나 멀티미디어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유튜브, 아프리카 TV와 같이 1인 미디어를 공유하는 플랫폼들이 인기를 끌면서 ‘동영상 기반의 1인 미디어’가 단연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기반의 1인 미디어는 실시간으로 방송을 내보내는 1인 방송의 형태로 까지 진화하였다. 국내에서 가장 주목 받는 1인 미디어 플랫폼인 ‘아프리카TV’ 는 평균 38만 명의 시청자가 동시에 방송을 시청할 정도로 규모가 거대해졌으며(황인선, 2014), MBC에서는 1인 방송 포맷을 도입한 ‘마이 리틀 텔레비전’을 인기리에 방영중이다. 본론에서는 한국의 1인 미디어 중에서도 트렌드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동영상 기반의 1인 미디어’에 대해 아프리카TV와 유튜브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1인 미디어 트렌드가 한국의 어떠한 배경에서 시작되었으며 우리 사회와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더 나아가 어떠한 전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한, 1인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트렌드의 역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보완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한다.
2. 본론
1) 1인 미디어 트렌드 소개
1인 미디어는 여러 전문가들의 분업으로 제작되는 기성 방송과 달리 비전문적인 개인에 의해 제작되고 제공된다.
참고 자료
김양하, 민승기, 이석근, 정완진 (2008). <1인 미디어의 힘>. 서울 : 매일 경제 신문사.김익현 (2012). <인터넷 방송, 지상파 주도에서 1인 방송까지>. 서울: 한국 언론 진흥재단/신문과 방송.
박수련 (2014, 4, 12). 맛깔나게 게임 대신해주는 남자, 유튜브 중계로 월수입 3500만 원. <중앙일보>, 16면.
박혜림 (2016, 2, 2). 일상으로 파고든 ‘나홀로 문화’ 혼자면 어때?‘獨한 문화’급속확산. <헤럴드경제>. URL: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60202000511
이서희 (2016, 2, 11). 1인 미디어 이끄는 MCN, 방송·영화사를 넘본다. <한국일보>. URL:http://www.hankookilbo.com/v/4b1a77ca75034187ba33612519a2bf5a
황인선 (2014, 2, 13). 아프리카TV 2013년 매출 481억- 영업이익 44억. <한국경제>. 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2135090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