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렘 플루서의 인간 커뮤니케이션 구조연구 - 1인 미디어 (뷰티 개인 방송) 의 기술적 상상 실천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병*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빌렘 플루서의 인간 커뮤니케이션 구조연구 - 1인 미디어 (뷰티 개인 방송) 의 기술적 상상 실천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서론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2) 이론적 배경
2.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1) 연구 문제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1) 뷰티 개인 방송의 대화 형식
2) 뷰티 개인 방송의 대중적 기만 인식 사례
3) 뷰티 개인 방송의 기술적 상상 발현 사례와 한계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콘텐츠 스트리밍 전성시대를 맞이하며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언제든 영상을 볼 수 있는 플랫폼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세계 최대의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Youtube)는 콘텐츠 스트리밍 전성시대에서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유튜브의 시장 성장으로 유튜브에서 개인 방송을 진행하는 크리에이터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1200만을 넘는 구독자를 거느리는 제이플라(JFlaMusic)는 국내 최초로 1000만 구독자를 돌파해 ‘다이아버튼’을 받으며 국내 개인 유튜버 1000만 구독자 시대를 열었다. 지난 2월 기준으로 국내 유튜브 구독자 수 상위 50개 중 13개가 개인 방송 채널로 나타나 그만큼 개인 콘텐츠 공급자의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박지훈, 2019). 13개개인 방송 채널의 장르는 음악, 게임, 뷰티, 먹방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300만~1200만 여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1인 미디어의 장르 중, 본 논문에서는 1인 미디어의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는 ‘뷰티’에 주목하고자 한다. 뷰티 개인 방송을 진행하는 뷰티 크리에이터는 개인 SNS나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페, 블로그 등을 통해 자신의 뷰티 메이크업 팁을 공유하거나 대중들에게 뷰티 지식을 전달한다(김기영,2017). 앞서 살펴본 개인이 운영하는 상위 13개의 채널 중 뷰티 크리에이터 ‘포니(PONY Syndrome)’는 510만이 넘은 구독자 수를 지녀 국내 뷰티 크리에이터 중 구독자 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포니는 자신의 SNS 계정에서도 수많은 팔로워를 지니고 있다.
참고 자료
강진숙 (2016).〈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연구의 주사위: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지금.강진숙(2010). 1인 미디어로서의 블로그 이용문화와 기술적 상상 : 플루서의 코무니콜로기론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8권 3호.
강진숙·배민영 (2010). ‘소수자-되기’를 위한 노인 미디어교육 연구. <교육문화연구>, 16권 1호, 강진숙·장성준 (2008). 텔레마틱 사회의 대화형 매체와소통형식에 대한 연구 -빌렘 플루서(Vilém Flusser)의 ‘코무니콜로기(Kommunikologie)’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34권 1호
김기민·신일기 (2017).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와 지각된 콘텐츠 속성 따른 비교효과 연구. <OOH광고학연구>, 14권
김기영 (2017). 1인 미디어 분야에서 뷰티 크리에이터의 발전 방향에 관한연구,<조형미디어학>, 20권
김병주 (2016). 미디어 현상학 관점에 따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가변화에 관한 연구: 빌렘 플루서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김성은(2017). 요리 콘텐츠 사례와 대중적 기만에 대한 제작자 및 이용자의 인식 연구- 플루서의 코무니콜로기론(Kommunikologie)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김해원·강혜원·백지연(2018). 크리에이터에게 이용자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 인터넷 개인방송 창작자에 관한 에스노그래피.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9권 2호, 49-90
박지훈(2019,3,28). 스트리밍 올라탄 1인 방송 몸값 쑥… 국내 개인 유튜버 구독자 Top 7은?. <매일경제>. URL: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09&aid=0004328380
서정예 ‧ 조성은 (2019). 유튜브 K-뷰티 콘텐츠 자막 번역 연구. <번역학 연구>, 20권 1호, 127-155
손수경(2018). 온라인 페미니즘의 실천의 유목적 주체와 집단지성에 대한 연구 : 독일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유수정·이영주·유홍식 (2018).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MCN 선택 동기와 창작자로서 불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권 8호,
윤영석·이현우 (2016). 개인 방송 플랫폼 기술. <한국통신학회지>, 33권 4호
이선정, 이수범 (2017). K-뷰티(K-Beauty) 검색량이 수출과 관광에 미치는 영향. 문화경제연구, 20권 2호, 119-147김기영 (2017). 1 인 미디어 분야에서 뷰티 크리에이터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20권
이소연(2019,05,07). '2019 멧 갈라'서 샹들리에로 변신한 케이티 페리. <스타뉴스>. URL: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781884
이영주·송진 (2016). 개인방송 콘텐츠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96호, 68-103.
이인지‧정성지 (2018). 뷰티 크리에이터의 창의적 콘텐츠와 소비자 쇼핑성향이 콘텐츠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
이희은(2019).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개인’의 의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정용국 (2018). 여대생의 뷰티 유튜브 이용동기 및 시청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권 3호
조문희 (2018,5,10). '160만 구독자' 거느린 유튜버계 여왕 이사배. <시사저널>, URL: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586&aid=0000001538
최혜정·정연자 (2018). 뷰티관련 UCC 정보특성이 정보만족과 정보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권 6호,
MBN 온라인 이슈 팀 (2018,1,22). ‘1500만원 구찌 하울 영상’ 레나, 인성 논란. <MBN>. URL: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1217688
Flusser, V. (1996). Kommunikologie. Fischer. 김성재 역 (2001). <코무니콜로기: 코드를 통해 본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와 이론 및 철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