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변천사
- 최초 등록일
- 2017.01.16
- 최종 저작일
- 2016.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as3**
13회 판매
목차
1. 표준보육과정 제정 이전
1) 태동기(1921 ~ 1960)
2) 전환기(1961 ~ 1980)
3) 정비기(1981 ~ 1990)
4) 발전기(1991 ~ 2003)
5) 도약기(2004 ~ 2006)
2. 표준보육과정 제정 이후
1) 표준보육과정의 개발 배경 및 필요성
2) 표준보육과정의 개발과정
3) 제1차 표준보육과정
4) 제2차 표준보육과정
5) 제3차 표준보육과정
본문내용
보육에 대한 개념은 당시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달라지며 국가적 수준의 표준보육과정 역시 그 시대적 흐름과 사회적 요구로 인한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의 표준보육과정은 2007년에 최초로 제정된 이례 2012년 제2차 표준보육과정과 2013년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으로 두 차례에 걸쳐 개정되어 고시되었으며 따라서 이 시간에는 표준보육과정이 제정되고 난 2007년 이후와 반대로 제정되기 전인 2006년까지를 각각 전과 후로 나누어 보육관련법의 제정과 변천과정, 그리고 이에 영향을 끼친 당시 사회적, 경제적 환경 등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준보육과정 제정 이전>
⚀ 태동기(1921 ~ 1960)
태화기독교사회관은 감리교 선교사들에 의해 개관된 가장 오래된 사회복지관으로써 아동 건강진단과 아동보건사업. 빈곤아동을 위한 탁아 프로그램 개발해 실시하였기에 한국 보육역사에서는 이를 제도적 보육의 시작으로 본다. 이후 세계대전과 경제공황으로 인하여 요보호 아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해 종교단체들의 의한 탁아소 설립이 본격화 되었으며 해방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그 숫자는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