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영어 조기교육의 역사와 실태, 국내 영어 조기교육 정책, 외국의 사례, 영어 조기교육의 찬성론과 반대론(언어학적,정서심리학적,신경생리학적,인지적측면)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10.29 최종저작일 2008.05
21P 미리보기
영어 조기교육의 역사와 실태, 국내 영어 조기교육 정책, 외국의 사례, 영어 조기교육의 찬성론과 반대론(언어학적,정서심리학적,신경생리학적,인지적측면)
  • 미리보기

    소개

    영어 조기교육 실태 부분 통계만 최신 것으로 교체하여 활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조기교육의 역사 및 그 실태
    1) 영어조기교육의 역사
    2) 국내영어조기교육 실태
    2. 국내 영어조기교육 정책
    3. 외국 상황
    1) 핀란드
    2) 필리핀
    4. 영어조기교육의 찬반양론
    1) 영어조기교육의 찬성론
    (1) 언어학적 측면
    (2) 정서∙심리학적 측면
    (3) 신경∙생리학적 측면
    (4) 인지적 측면
    2) 영어조기교육의 반대론
    (1) 언어학적 측면
    (2) 정서∙심리학적 측면
    (3) 신경∙생리학적 측면
    (4) 인지적 측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영어조기교육이 열풍이다. 약 10여년 전부터 거세게 불고 있는 영어 조기교육의 바람은 이명박 정부의 영어중심교육 정책에 힘입어 그 위력이 점점 더 대단해지고 있다. 수 십만원을 넘어 한 달 사교육비로 약 100만원이 넘게 들어가는 영어유치원이 유행하고, 옹알이를 시작하는 갓난아기에게 영어 환경을 만들어주는 등 대한민국은 영어교육 열기에 휩싸인 듯 하다. 물론 세계화 시대를 맞아 영어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을 것이다. 1994년 유네스코(UNESCO)의 보고에 의하면 세계 주요 정보의 80% 이상이 영어로 전달되고, 또 우편물의 70%, 국제통화의 85%, 컴퓨터 자료의 80% 정도가 영어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영어의 홍수 속에서 어찌 보면 영어조기교육은 아주 당연한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영어조기교육의 열풍에 휩쓸려 너도나도 영어만을 외치는 현재의 영어교육에 대해서는 중간 점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또한 조기교육의 뜻은 아이에게 어떤 지식을 심어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자라 수많은 지식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그 틀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즉, 조기교육의 원뜻은 지식만을 교육하는 것이 아닌 평생교육의 측면, 즉 전인교육의 틀 안에서 해석되어야 한다(www.naver.com).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행해지고 있는 영어조기교육의 한 단면을 들여다보면 영어의 지식만을 증대시키려는 정책이나 교육내용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아직 우리말에 대한 개념정립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에게 과연 영어교육을 확대하는 것이 옳은지 미래의 초등학교 교사로서 고려해 봐야 할 문제이다.

    Ⅱ. 본론
    1. 조기영어교육의 역사 및 그 실태
    1) 영어조기교육의 역사
    우리나라 영어교육은 1883년 ‘동문학’의 설립으로 시작되어 1886년의 ‘육영공원’, 1894년의 ‘영어학교’등의 설립으로 개화기와 함께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참고자료

    · 공병호(2006). 영어만은 꼭 유산으로 물려주자. 21세기북스
    · 김은경(2003).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조기영어교육의 실태와 인식조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박남식(1982). 영어회화. 서울대학교 출판사
    · 배두본(1993). 영어교육학. 한신문화사
    · 소도숙(2004). 조기영어학습 경험이 초등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소현수(1997). 조기영어교육과 중학교 영어학습간의 연계성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양인석(1980). 영어조기교육 찬반론. 외국어교육논문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연수원.
    · 이경희 (2005). 초등학교 1, 2학년생의 조기 영어 교육 실태 조사.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병문(2006). 핀란드 들여다보기. 매일경제신문사
    · 이상호(2005). 사설 어린이 영어교육기관의 실태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성옥(2002).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육에 나타난 조기 영어 교육의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정동빈(1998). 조기영어교육론. 한신문화사
    · 정명호(1989). 조기영어교육론. 한신문화사
    · 정연이(2005). 조기영어교육 경험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정인자 (2005).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조기영어교육 인식. 서울 숙명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정혜숙(2002). 초등영어 통합교과 교육에 관한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차지은(2001). 이중언어로서의 영어습득과 교육. 석사학위 논문
    · 채미정(2001). 초등영어학습자의 학습전략 분석 및 지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채명희(1997). 효과적인 조기 영어교육을 위한 교사의 모형. 강릉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최보윤(2004). 초등 3,4학년에 나타난 조기 영어 교육의 효과 지속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최은경(2000). 세계 영어들의 정체성 : 그 신화와 실제. 한국문화사
    · 최은영(1996). 학령 전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Role playing의 역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홍성일(2003). 미취학어린이의 영어어휘와 문법 습득-초기단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홍종인(1978). 교육의 국적을 묻는다. 한국일보 제 9089호
    · EAI 여론브리핑 제16호 (2007). 교육 및 조기유학 7대도시 조사 결과
    · Asher, J. (1969). The optimal age to learn a foreign language. The Modern Language Journal 53.
    · Ausubel, D.E. 1964 Adults versus children in second language learning: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Modern Language Journal, 48, 42-424.
    · Brown, H. D. (198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Brown, H.D. 200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White Plains, NY: Longman.
    · Bumpass, F. L. (1963). Teaching young students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New York: American Book Company.
    · Chomsky, N. 1965 Aspect of the theory of syntax. Cambridge: The M.I.T. press.
    · Fathman, A. 1975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second language productive ability. Language Learning, 25, 245-253.
    · Felix, S. (1985). More evidence on competing cognitive systems. Second Language Research, 1, 42-72.
    · Guiora, A. Z., Brannon, R. C. L., & Dull, C. Y. (1972). Empath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Language Learning, 22, 111-130.
    · Krashen, S.D. 1973 Mental abilites underlying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functions. Linguistics, 115, 39-55.
    · Lenneberg, E. H. (1967). Biological foundations of language. NY: John Wiley and Sons.
    · Mackey, W. (1965). Language teaching analysis. London: Longman.
    · Macnamara, J. (1975). Comparison between first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Working Papers on Bilingualism.
    · Penfield, W. & Roberts, L. 1959 Speech and brain mechanism, Englewood Cliffs,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Piaget, J. (1952). THe origin of intelligence in children. NY: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 Oliva, P. F. (1969).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 Rivers, W. M. (1968)Teaching Foreign Language Skills. Chicago and London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Rivers, W. M. (1981). Teaching foreign langiage skills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Rosansky, E. J. (1975). The critical period for the acquisition of language : Some cognitive developmental considerations. Working papers on Bilingualism, 6, 10-23.
    · Schachter, J. (1988).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its relationship to universal grammar. Applied Linguistics, 9, 219-235.
    · Schumann, J. H. (1975). Affective factors and problem of age in secind language acquisition. Language Learning, 25(2), 209-235.
    · Scovel, T. (1969). Foreign accents and cerebral dominance. Language Learning, 19, 245-254.
    · Seliger, H. (1978). Implications of a multiple critical periods hypothesis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In W. Ritchie (E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San Francisco, CA: Academic Press.
    · Tayler, B. (1974). Toward a theory of language acquisition. Language Learning, 24, 21-5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