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Function of auxiliary verbs in English

본 자료는 영어에서 조동사의 기능에 대해 조사한 페이퍼 이다. 영어학 또는 언어학 관련 수업을 듣는 학생 중 특히 조동사와 관련하여 페이퍼를 써야하는 학생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쉬운 이해를 돕기위해 많은 예문을 추가하였다.
9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5.12.17 최종저작일 2015.11
9P 미리보기
Function of auxiliary verbs in English
  • 미리보기

    소개

    본 자료는 영어에서 조동사의 기능에 대해 조사한 페이퍼 이다.

    영어학 또는 언어학 관련 수업을 듣는 학생 중 특히 조동사와 관련하여 페이퍼를 써야하는 학생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쉬운 이해를 돕기위해 많은 예문을 추가하였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Properties of auxiliaries
    4. Auxiliary do
    5. Auxiliary be
    6. Have
    7. Auxiliary inversion
    8. Modals
    9. Dynamic modality
    10. Deontic modality
    11. Epistemic modality
    12. Conclusion

    본문내용

    This paper discusses functions of auxiliary system in English. The main function of auxiliaries is to help main verbs. In English, auxiliari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main verbs. When auxiliary verbs add new meanings to main verbs, the main verbs experience semantic or morphologic changes. Auxiliary verbs have several features as follows: (1) Auxiliaries do not appear independently – they always occur with main verbs, and are posited before the main verbs. Homer is studying syntax. (2) Modals are included in a domain of auxiliaries. (3) Auxiliaries allow inversion in various cases and occur at the beginning of sentences.

    <중 략>

    Through analysis of lexical entries of (a) and (b), Falk (2008) argues that the auxiliary did, in the sentence (b), is merely an analytic expression of the tense feature and believes that (b) is ungrammatical unless did is stressed. However, in (c), auxiliary did correctly supports the main verb take and it is inverted in (d). From this analysis, we can discover that auxiliary do occurs in negative, interrogative, and declarative statements when it is stressed.

    참고자료

    · Chomsky, Noam. 1957. Syntactic structure. Mouton & Co, Printers, The Hague.
    · Chen, Rong. 2013. Subject auxiliary inversion and linguistic generalization: Evidence for functional/cognitive motivation in languag. Cognitive Linguistics 2013; 24(1): 1 – 32.
    · Chung-hye, Han. 1997. Deontic Modality, Lexical Aspect and the Semantics of Imperatives
    · Cowper, Elizabeth. 2010. Where auxiliary verbs come from.
    · Harwood, William. 2014. Rise of the Auxiliaries: a case for auxiliary raising vs. affix lowering. The Linguistic Review 2014; 31(2): 295 – 362.
    · Radford, Andrew. 2004. English syntax: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ISBN 0 521 54275 8Falk, Yehuda N. (2008). Linguistics 46–5 (2008), 861–889 DOI 10.1515/LING.2008.028
    · Richard, Hudson. 1997. THE RISE OF AUXILIARY DO: VERB-NON-RAISING OR CATEGORY-STRENGTHENING? Transactions of the Philological Society Volume 95:1 (1997) 41-72.
    · William, Harwood. 2014.Rise of the Auxiliaries: a case for auxiliary raising vs. affix lowering. The Linguistic Review 2014; 31(2): 295 – 362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