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성장애, bipolar disorder,정신과,간호과정,정신과간호과정,양극성장애1
- 최초 등록일
- 2015.12.13
- 최종 저작일
- 2012.10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HappyRN (본인인증회원)
27회 판매

소개글
학생때 레포트로 제출했던 컨퍼런스입니다.
정신간호학 점수는 잘 받았습니다.
간호과정은 3개 있어요 !
좋은점수 받길 바랄께요 ~
목차
1. 질병보고서
1) 질병명 및 정의
2) 유형
3) 진단기준
4) 원인 및 위험요인
5) 병태생리
6) 증상 및 징후
7) 진단적검사
8) 치료적관리
9) 예후 및 합병증
2. 간호사례보고서
1) 간호과정 #1, #2, #3
본문내용
Ⅰ.질병 보고서(Care study)
1.질병명 및 정의
-질병명 : Bipolar disorder
-정의 : 조울증은 기분 장애의 대표적인 질환의 하나로,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고양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조증 에피소드(Manic Episode)를 보이는 질환. 일반적으로 병의 경과상 주요 우울증 에피소드(Depressive Episode)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되어 나타나기도 함.
2.유형
1) 양극성장애Ⅰ
조증과 우울증이 교대로 또는 조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장애, 기존에 양극성 장애로 알려진 질환과 같음. 1주 이상 지속되는 한 번 이상의 조증이나 혼재성 삽화에 의해 특징지어지고, 보통 주요우울증 삽화가 동반됨.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또는 물질로 유발된 기분장애의 삽화는 양극성 장애 1로 진단되지 않으며 조증은 정신분열성 정서장애로는 설명되지 않음.
조증은 정신분열병, 정신분열형 장애, 망상장애에 첨가되지 않음.
2) 양극성장애2
조증의 정도가 경조증정도로 심하지 않으며, 한번 이상의 주요우울증 삽화에 의해 특징 지어지고, 적어도 한 번의 경조증 삽화가 동반됨. 경조증 삽화는 그 자신이 병적인 것으로 인식하지 못하므로 주의 사람들로부터의 정도가 진단을 내리는 데 결정적임. 양극성장애2를 경험한 10~15%는 자살시도를 하는데 이것이 가장 심각한 위험. 무단결석, 학업 수행의 실패, 직업실패, 이혼, 물질 남용, 의존,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공황장애, 사회공포증, 경계성 인격장애 등과도 관계.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며, 출산 직후 경험할 위험 높으며 평생 유병률은 0.5%.
양극성장애2의 경조증 삽화 가운데 60~70%는 주요 우울증 삽화 전후에 발생. 삽화 간격이나 빈도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 있음. 증상은 임상적으로 심각한 괴로움 초래하거나 사회적, 직업적 기능의 장애를 가져옴.
(※양극성장애 1과 2의 차이 : 조증 에피소드의 정도가 어느 정도냐에 따라 구분. 정신병적인 증상이 뚜렷한 조증이 있는 경우가 1형, 전통적인 의미의 조울증.
참고 자료
정신건강 간호학 - 김명자 저 현문사(1998)
정신건강 - 임창래 저 형설출판사(2006)
현대 이상심리학 - 권석만 저 학지사(2003)
퍼시픽 정신간호학 - 퍼시픽북스(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