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복자, 이경애(2000),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을 위한 식습관 및 영양지식 조사’, 한국식생활 문화학회지, 제 15권 제 3호, pp.201-213.
· 김경미, 이심열(2001), ‘학교 급식관리 및 영양교육에 대한 행정담당자 및 영양사의 의식 실 태 조사 연구’, 대한영양사협회 제 7권 제 2호, pp.129-137.
· 김영화, 장미라(2007), ‘초등학생의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교과서 분석 및 식습관 조사 연구 : 강릉시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대한영양사협회, 제 13권 제 4호, pp.379-388.
· 김영회(2000), ‘초등 실과교과 중 영양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 13권, 제 2호, pp.159-176
· 김영희(2003),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양 및 영양교육에 대한 태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농 촌, 제 21권, pp.209-227
· 김은경(1995), ‘서울과 강릉지역 국민학생의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제 28 권 제 9호, pp.880-892.
· 김은경, 문현경(1999), ‘서울시내 일부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체격에 따른 성장변화·생활습 관·식이섭취 상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지역사회영양지, 제 4권 제 4호, pp.546-553.
· 김정균(1989), 「영양교육」, 서울 : 지구문화사
· 김창임, 박영숙, 이정원, 현화진(2006), ‘학교영양사가 요구하는 영양교육 교재의 특성’, 대 한영양사협회, 제 12권 제 3호, pp.243-253.
· 모수미(1990), ‘우리나라 영양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영양학회지, 제 23권, 제 30호, pp.208-212
· 박남경(2006), ‘경기도 지역 학교 영양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미자(2001), ‘초등학교 아동의 체형과 식생활의 관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 박영숙, 이정원, 서정숙, 이보경, 이혜상(2004), 「영양교육과 상담」, 서울 : 교문사
· 박유화, 김현희, 신경희, 신은경, 배은숙(2006), ‘전국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 및 영양교사 의 영양교육 실시를 위한 학교의 인식도 조사’, 한국영양학회지, 제 39권 제 4호, pp.403-416.
· 박정아, 장경자(2004), ‘인천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한 국영양학회지, 제 37권 제 10호, pp.928-937.
· 배인숙, 신경희, 이연경, 이성국(2005),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직무설정을 위한 초등학교 영 양사와 학생의 영양교육에 관한 인식도 조사 : 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영양사 협회, 제 11권 제 4호, pp.393-404
· 백정자(1989), ‘학교급식이 초등학생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 학회지, 제 2권 제 5호, pp.105-132.
· 서은나, 김초강(1998), ‘초등학교 영양교육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제 31 권 제 4호, pp.403-416.
· 손숙미, 이경혜, 김경원, 이연경(2007) 「영양교육 및 상담의 실제 :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 으로」 서울 : 라이프사이언스
· 심유진 외(2010), '초등학교 건강한 학교 만들기 사업에서 수행한 영양 및 신체상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영양학회지, 43(4), pp. 382-394.
· 안윤 외(2009),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4(3), pp. 266-276.
· 윤우자(2004), ‘학교급식 실태분석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초·중등학교를 중 심으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현숙, 노정숙, 허은실(2001), ‘경남지역 초등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대한지역 사회영양학회, 제 6권 제 1호, pp.84-90.
· 이경혜, 허은실, 우태정(2005), ‘초등학교 고학년의 올바른 식생활 교육을 위한 활동중심의 영양교육 교재 및 영양교사용 지침서 개발’, 대한영양사협회, 제 11권 제 2호, pp.205-215.
· 이소영(2005), ‘초등학생의 식 행동 및 학교에서의 영양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중 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영남(1986), ‘급식학교의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KOREAN J. FOOD CULTURE 제 15권 제 3호, pp.294-299.
· 이윤주, 김경미, 장경자(2000), ‘인천시내 초등학교 학생의 영양교육 효과 분석’, 대한영양사 협회 학술지, 제 6권, 제 2호, pp.86-96
· 이지은, 정인경(2005), ‘초등학생 식습관 실태 및 학교 교육과정에서 영양교육에 대한 인 식’, 한국가정교육학회지, 제 17권 제 2호, pp.79-93.
· 정진환, 하광호(2002), ‘학교 영양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교원교육학회, 제 19권 제 3 호, pp.213-233.
· 지선미(2003), ‘초등학생을 위한 영양교육 웹 콘텐츠 개발 및 평가’,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최미경 외(2010), 충남 일부 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학교를 통한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6(1), pp.39-48.
· 최은영, 주나미(2004),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KOREAN J. FOOD CULTURE 제 20권 제 1호, pp.86-95.
· 황순녀(2003), ‘학교 영양교육의 목표와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