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구강보건정책 및 사업과제
- 최초 등록일
- 2020.11.07
- 최종 저작일
- 2020.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국인의 구강보건정책 및 사업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청소년의 바른 양치 실천사업: 초등학교, 지역아동센터 양치설비 지원 포함
2.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사업
3. 저소득층 노인·장애인 의치보철 사업
4. 공공구강보건 의료 서비스 전달체계 확충사업 - 공공구강보건실, 시, 군/시, 도/중앙 구강보건센터 설립
5. 구강보건 교육·홍보 사업: 교육홍보자료 개발 보급 포함
6. 국민 구강건강 실태조사 사업
7. 취약계층별 예방중심 구강질환관리사업: 등록관리 추천
8. 찾아가는 구강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사업
9. 아동·청소년 치과주치의 제도 개발
본문내용
1. 아동·청소년의 바른 양치 실천사업: 초등학교, 지역아동센터 양치설비 지원 포함
* 사업의 배경 - 칫솔질과 치실질 등 바른 구강위생관리(양치) 습관은 치주질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고, 칫솔질 과정에 사용되는 세치제(치약)에 함유된 불소성분 또한 치아우식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 아동・청소년은 바른양치 습관을 배우기에 가장 적합하고, 특히 생활공간에서의 실천과 연계될 때에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미 실시 지역에서 치아우식증 발생 위험이 높은 학생집단이 양치과정에 매일 한 번씩 또는 매주 한 번씩 불소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사업의 내용 - 아동・청소년 집단생활시설에서 바른양치 실천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유도 → 프로그램 운영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필요한 교육 매뉴얼과 자료 제공
→ 고등학교 중에서는 바른양치 실천율이 뚜렷이 낮은 특성화계고를 우선적으로 포함
- 적정한 양치설비(칫솔 보관장 포함) 기준을 마련하여 초등학교부터 순차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바른 양치 생활실천 환경조성
- 불소용액양치사업을 실시중인 초등학교에 불소용액분배기 보급
- 보건소별로 불소용액 양치에 필요한 불소약품의 수요를 파악하여 일괄 공급
: 6가지 정책발전 방안 중 신체위생의 일부로서 구강위생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법으로 아동, 청소년의 구강은 신체의 일부이고 구강위생 관리는 신체위생을 향상시키는 것에 포함된다. 따라서, 구강건강 향상보다는 다른 사회적 동기가 더욱 강력하다.
2.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사업
* 사업의 배경 - 치아우식증은 지난 10여 년간 아동・청소년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나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우리 국민의 대다수가 경험하는 대표적인 구강질환으로써 이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매우 크다.
-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치아우식증 예방사업이다
참고 자료
류재인/ 지역→전국으로 모두의 치과주치의제 시작!/ 건치/ 2018.09.05./
http://www.gunch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9639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구강건강실태조사/
https://www.khealth.or.kr/board?menuId=MENU01018&siteId=null
이상영 외 5인/ 건강증진서비스 전달체계 확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G-health/ 이용자가이드/
https://www.g-health.kr/portal/bbs/selectBoardList.do?bbsId=U00243&cNttId=199&menuNo=200573
보건소 의치(틀니)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14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