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충구, 「18세기 국어의 음운론적 연구」, 『국어연구 43』, 1980.
· 기세관, 「구개음화의 공시태와 통시태」, 『정병홍선생화갑기념 논문집』, 학문사, 1987.
· 김민수, 「ㄷ, ㄹ의 변화 현상」, 『고려대 국문학 5집』, 1961.
· 김민수, 『국어문법론』, 일조각, 1971.
· 김석득, 「구개음화와 기저모음 및 어휘소」, 『눈뫼 허웅박사 환갑기념 논문집』, 1978.
· 김수곤, 『Palatalization in Korean』, 광문사, 1976.
· 김수곤, 「/ㄴ/의 구개음화 규칙」, 『어학연구 12권 2호』, 1976.
· 김수곤, 「현대국어의 움라우트 현상」, 『국어학 6』, 1978.
· 김영기, 『Korean Consonants Phonology』, 탑출판사, 1975.
· 김완진, 「고구려어에 있어서 't'구개음화에 대하여」, 『이숭녕 박사 송수기념 논총』, 1968.
· 김주필, 「구개음화에 대한 통시적 연구」, 『국어연구 68』, 1985.
· 김진우, 「국어음운론에 있어서의 공모성」, 『어문연구 7』, 1971.
· 김진우, 『언어』, 탑출판사, 1985.
· 김형규, 「구개음화의 연구」, 『서울대 논문집 9』, 서울대, 1959.
· 남기심 외, 『언어학개론』, 탑출판사, 1977.
· 도수희, 「음운변화의 잠재기능에 대하여」, 『어문연구 제13집』, 어문연구회, 1983.
· 도수희, 『한국어 음운사 연구』, 탑출판사, 1987.
· 도효근, 「경구개음화고」, 『장암 지헌영선생고희 기념 논문집』, 1980.
· 박홍길, 「구개음화고」, 『부산대 국어국문학지 3』, 1961.
· 심의린, 『중등학교 조선어문법』, 조선어연구회, 1935.
· 안병희, 「중간두시언해에 나타난 't'구개음화에 대하여」,
· 『일석 이희승선생 송수기념 논총』, 1957.
· 안상철, 『The interplay of phonology and morphology in korean』,
· Ph. D. dissertation, univ. of illinois, 1985.
· 오정란, 「구개음화의 음운론적 위상」, 『국어국문학 103』, 1990.
· 우민섭, 「구개음화에 관계된 몇 가지 문제」, 『어문연구 8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5.
· 유창돈, 『이조어사전』, 신구문화사, 1964.
· 이기문, 「중세 국어 음운론의 제연구」, 『진단학보 32』, 진단학회, 1964.
· 이기문, 「16세기 국어의 연구」, 『국어연구 신서 3』, 탑출판사, 1978.
· 이명규, 「구개음화현상의 사적고찰」, 『국어연구 제31호』, 1974.
· 이병근, 「음운규칙과 비음운론적 제약」, 『국어학 3』, 1975.
· 이병근, 「자음동화의 제약과 방향」, 『이숭녕선생고희기념 국어국문학논총』, 1977.
· 정인승, 『표준 고등 말본』, 신구문화사, 1956.
· 주시경, 『국어문법』, 박문서관, 1910.
· 허 웅, 『국어음운학』, 정음사, 1965.
· 홍윤표, 「구개음화에 대한 역사적 연구」, 『진단학보 60』,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