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증폭, PCR
- 최초 등록일
- 2012.12.21
- 최종 저작일
- 2012.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powe****
4회 판매

소개글
위의 자료는 카이스트 생물학실험 보고서입니다.
목차
Ⅰ. Objective
Ⅱ. Introduction
Ⅲ. Material
Ⅳ. Method
Ⅴ. Result
Ⅵ. Discussion
본문내용
Ⅰ. Objective
- PCR을 이용하여 eGFP DNA 단편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고 이를 확인 할 수 있다.
Ⅱ. Introduction
1. PCR
멀리스라는 과학자가 다른 재료는 DNA 복제 과정과 똑같이 사용하고, 시발체만 증폭시키고 싶은 DNA 염기서열 앞·뒷부분에 결합시키면 원하는 DNA를 많이 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중나선으로 결합된 DNA에 열을 가해 한 줄씩 풀어준 뒤 시발체를 넣고 온도를 낮춰 DNA 한 가닥과 시발체가 붙게 했다. 여기에 DNA 중합효소를 넣으면 시발체로부터 DNA 조각이 붙기 시작해 이중나선 DNA가 만들어진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DNA가 제곱수로 복제된다. 10번 반복하면 DNA 가닥 수는 1024(210)개, 20번 반복하면 100만(220)개, 30번 반복하면 10억(230)개로 폭발적으로 늘어난다. 연구에 쓰기에 충분한 양이다. 멀리스는 이 방법을 이론적으로 고안해 1985년 논문으로 발표했다.
<중 략>
2. 밴드가 적을 경우
-Template의 GC content가 높으면 잘 벌어지지 않아서 primer가 잘 binding안 될 경우도 있다. 그럴 경우에는 DMSO를 PCR할때 약 1%정도를 넣어주면 GC content가 잘 벌어지게 될 수있다.
- Taq polimerase가 inhibition 되었기 때문일 확률이 높다.
따라서 다음 사항을 점검해 보자.
1) 주형 DNA의 농도를 줄여본다.
2) Taq DNA polymerase의 농도를 증가시켜본다.
3) MgCl2의 농도를 바꿔 본다.
4) template DNA를 다시 정제한다(isogene하게)
5) primer를 다시 합성해 본다(primer의 순도보다는 디자인 과정에 문제가 더 많을 듯 하다)
6) Taq DNA polymerase 활성을 점검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