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학] 영시개관
- 최초 등록일
- 2002.12.06
- 최종 저작일
- 2002.12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중세
고대영시
중세영시
16세기 시(1485-1603)
17세기 시(1603-1660)
왕정복고기와 18세기 시(1660-1798)
낭만주의 시(1798-1832)
빅토리아 시대(1832-1901)
20세기 시 (1890년부터 현재까지)
본문내용
신고전주의 시기는 내란 이후 찰스 스튜어트(Charles Stuart)가 영국으로 돌아온 때부터 윌리엄 워즈워드(William Wordsworth)와 새뮤얼 테일러 코울리지(Samuel Taylor Coleridge)가 {서정 민요집}(Lyrical Ballads)을 발표한 때까지이다. 찰스 왕이 외국에서 살았기 때문에 신고전주의가 외국의 영향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가 외국에서 살지 않았더라도 영국의 신고전주의 시기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을 것이다. 벤 존슨(Ben Johnson)의 시와 비평은 영국문예부흥기의 비평경향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였다. 그가 사용한 닫힌 영웅시체 2행연구는 에드먼드 월러(Edmund Waller)와 존 덴함(John Denham)경의 영웅시체 2행연구의 모델이 되었다. 벤 존슨의 추종자 중의 한 사람이었던 존 버몬트(John Beaumont)경은 일찍이 1625년에 비평기준을 제시했는데 그 기준은 1660년 이후 가장 보편적인 기준이 되었다. 그리고 그가 사용한 2행연구 형식은 드라이든(Dryden)과 포우프(Pope)의 영웅시체 2행연구의 모범이 되었다. 그가 제시한 비평기준은 단(Donne), 크래쇼(Crashaw), 밀튼(Milton)의 시에는 적용될 수 없는 것이었지만, 어거스탄 시대(18세기 전반, 앤(Anne) 여왕의 시대)의 시를 예상케 했고, 본래의 고전주의(Classicism)가 형이상학파 시(Metaphysical poetry)와 나란히 존재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한다. 정확함, 적합함, 자제, 규율, 명료함, 신선함, 불가사의함, 자연, 힘, 현학으로부터 벗어남 등을 강조하는 것이 그 비평기준의 요체였는데 이 요소들은 왕정복고 이후 영국문학이 나아갈 방향을 명확히 제시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