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들어가며
<雙花店>은 고려속가 가운데서도 그 노골적인 표현으로 말미암아 조선조 양반계층에 의해 음설지사로 거론된 男女相悅之詞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쌍화점>의 노랫말이 실려 전하는 문헌은『樂章歌詞』,『樂學便考』, 『大樂後譜』이고, 급암의 소악부와『高麗史』악지에는 ‘三藏’이라는 제목 하에 쌍화점과 같은 내용의 가사가 한문으로 전하고 있으며,『時用鄕樂譜』에는 쌍화점을 한시로 개작한 것으로 보이는 <雙花曲>이 실려있다. 『악장가사』,『악학편고』에는 쌍화점의 노래말만 적혀있고,『대악후보』에는 노래말과 함께 악보도 실려 있다. 『악장가사』와『악학편고』의 가사는 거의 유사하고,『대악후보』에는 악보와 함께 1연은 온전하게 전하나 2, 3연은 부분만이 전하며 4절은 전하지 않는다.
<쌍화점>은 그 동안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연구되었으나 그 제작연대와 작자에서부터 내용분석에 이르기까지 여러 이견이 분분할 뿐 어떤 구심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각양각색으로 논란이 되어온 여러 이견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그 타당성을 짚어보는 동시에 나름대로의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중 략>
Ⅶ. <쌍화점> 주제
<쌍화점>은 학자들이 내세운 주제에 따라 내용 해석이 틀려지는 것이 특징이다.
1) 애정지상주의적 삶을 그린 노래
2) 자유분방한 삶에의 동경을 그린 노래
3) 타락한 사회상을 풍자, 고발하는 노래
4) ‘소문과 그 신빙성’을 주제로 하여 주위사람들에게 권계할 뜻을 지닌 노래
5) 고려 여성들의 한이 담긴 노래
6) 본능과 도덕 사이에서 끊임없이 방황하는 여성의 본원적인 갈등을 그려낸 노래
7) 인종차별과 연령과 사회계급을 초월한 사랑을 노래
8) 풍요적인 노래
<쌍화점>에 나오는 일상사는 모두 제식과 연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식에 있어서 ‘불을 켜는’ 것은 동, 서양, 고, 금의 모든 종교가 갖는 공동 의식절차중의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마시는 것을 상징하는 ‘우물’이나 ‘술’도 사실은 제식행위와 통하는 신화적 요소를 강하게 함유하고 있다. 샘, 웅덩이, 우물, 강, 늪은 모신 내지 여신신앙과 깊이 관련되기 때문이다. 인간의 공통적 원형으로서 물은 지상세계와 신성한 세계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이기에 인간이 저세상으로 갈 때에 항상 강을 건너는 것으로 설정되고 있음은 동서양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그렇기에 우물용은 ‘왕’을 상징하여 지배계급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다.
· 강우식, 고려가요에 대한 일고찰, 성대문학, 1983
· 권경순, 고려속요는 민요인가,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 권두한, 김학성,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 권오만, 고려속요의 화자, 인문 과학 연구국제대, 1982
· 김갑기, 고려가요의 계통 문제, 한국문학연구3, 1981
· 김기동, 국문학개론, 정연사, 1964
· 김대행, 고려가요의 정서, 개문사, 1985
· 한국시가 구조연구, 삼영사, 1982
· 김동욱, 한국가요연구(속), 선명문화사, 1973
· 고려기 문학의 개관과 그 문제점- 고려 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4
· 국문학 개론, 민중서관, 1964
· 김동욱, 이가원, 장덕순 외 향가/여요, 서응출판사, 1983
· 김상억, 고려가사 연구, 청주대 논문집, 1966
· 김선풍, 고려가용의 형태적 고찰, 고대어문논집, 1970
· 고려가요 형태고, 국어국문학 84, 1980
· 김영수, 남녀상열지사고, 논문집 15, 관동대출판부, 1987
· 김열규, 고려시대의 가요문화, 새문사, 1982
· 김영철, 박영진, 이규호, 한국시가의 재조명, 형설출판사, 1984
· 김원진, 고려가요의 어의분석, 새문사 1982
· 김준영, 국문학 개론, 형설출판사, 1971
· 김쾌덕, 고려속요의 사회 배경적 연구, 부산대 박사논문, 1987
· 김태준, 고려가사, 학예사, 1934
· 김형규, 고가주석, 일조각, 1967
· 김학성, 국문학 탐구, 성균관대 출판부, 1987
· 한국 고전 시가의 연구, 정음사, 1979
·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출판부, 1980
· 여증동, 쌍화점노래연구, 고려시대의 가요와 문학 , 새문사, 1982
· 한국 문학사, 형설출판사, 1974
· 쌍화점고구 其一: 발언적 고찰, 어문학 19집, 1968
· 쌍화점고구 其二: 무대 해석, 국어국문학 47, 1970
· 쌍화점고구 其三: 대본 해석, 국어국문학 53, 1971
· 쌍화점 연구, 경북대,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