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건축음향과 소음방지대책
- 최초 등록일
- 2002.11.28
- 최종 저작일
- 2002.11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s노력많이 했슴다..
함 보시고 판단하세요..참고문헌까지 달았슴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소리와 소음
1) 소리
2) 음파
3) 소리의 단위
4) 소음
(1) 소음과 작업 능률
(2) 소음방지 대책
(3) 실내 소음
2. 건축음향
1) 소리범위 및 소음
2) 음향향기와 청취조건
3) 소리의 잔향 (reverberation)
4) 콘서트홀에서의 건축음향
3. 건축음향의 소음조절과 흡음
1) 소음조절
2) 흡음
4. 음향설계
1) 실내음향의 요건
2) 소음방지 설계
3) 실내형상의 설계
4) 잔향설계
5. 건축설계에 의한 실내음향계획
1) 음향기준
2) 잔향계획
(1) 최적잔향시간 (optimum reverberation time)
(2) 잔향설계방법
3) 반사면 계획
(1) 반사면 특성
(2) 기하작도법 (ray-diagram graphics)
4) 실의 형태 계획
(1) 평면계획
(2) 단면계획
(3) 실의 크기
III. 결론
본문내용
I. 서 론
건축음향계획은 건축계획과 설계, 환경공학 및 건축설비에 관련을 가진 건축기술의 한 부문으로서 비교적 오래된 역사와 넓은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음향이 이론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약 2500년 전 그리이스 시대에 소급될 수 있으며, 건축적으로 이용되었던 기록이 로마시대에서부터 나타나고 있다. 음향의 이론적인 연구는 음악과 관련을 갖고 시작되었으며, 근세에 이르러서 갈릴레이, 뉴우톤, 라플라스등의 유명한 물리학자들을 거쳐서 19세기 말 레이리의 저서에 의하여 이론체계가 확립되었다. 그 후 세이빈에 의한 잔향시간연구의 발표로 말미암아 음향의 건축계획적인 분석 방법이 제안되어서 건축음향계획의 시발점을 가져오게 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으로 라디오 방송의 개시, 활동사진, 레코드, TV의 일반화에 따라 방송과 녹음 스튜디오 등에 대한 건축음향계획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이 분야에 많은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현재는 강당, 음악당, 시민홀, 방송스튜디오등을 비롯하여 각종 건축물에 음향환경 및 시설과 훌륭한 건축음향설계에 대한 수요가 매우
참고 자료
- 건축물의 음환경설계와 음향재료 / 양관섭(건축계획연구실 선임연구원)
- 대공간의 실내음환경 계획을 위한 기초 실험연구 / 전진용 / 1999
- 콘서트홀의 음향성능 평가를 위한 심리음향적 실험연구 / 전진용,정정호 / 1999.10
- 음환경 '실내 음향 계획' / 김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