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상세정리본입니다. 유용하게 쓰세요.
39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2.05.28 최종저작일 2012.01
39P 미리보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 미리보기

    소개

    상세정리본입니다. 유용하게 쓰세요.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온 주입된 기판에 손상이 생기면 주입된 이온은 전기적으로 비활성화 상태이다. 이러한 불순물이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 전하를 내기 위해서는 박막의 substitutional site에 들어가서 공유결합을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열처리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열처리를 통하여 기판내의 stress나 결함을 치유해주고 이온 주입된 불순물을 활성화시키게 되는데, 이 공정을 이온활성화 (ion activation) 라고 한다. 활성화의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a. Laser Activation:
    Laser activation은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며 가장 확실하게 activation을 시킬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결정화된 active layer에 ion doping을 하게 되면 ion이 조사된 면이 a-Si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source/drain영역을 laser로 조사하게 되면 재결정화가 일어나면서 동시에 주입된 불순물들이 활성화된다. 이 때, 일반적인 LTPS제작시 사용되는 세기 보다 다소 낮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재결정화된 S/D region의 poly-Si의 결정성은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b. Low-temperature furnace annealing
    350∼450 ℃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30분∼2시간)내에 furnace annealing을 시켜줌으로써 activation 하는 방법이다. 효과면 에서는 Laser에 비해 다소 떨어지나 Process가 단순하고 편리한 이점이 있다.

    참고자료

    · T. Kamins, ”Polycrystalline silicon for integrated circuit applications”, (Kluwer Academic Publishers, US, 1988)
    · K. D. Mackenzic, J. Hanna, Y. R. Eggant, Y. M. Li, Z. L. Sun and W. Paul, J. Non-Cryst. Solids 77, 881 (1985)
    · T. Sameshima and S. Usui, in Materials Issues in Silicon Integrated Circuit Processing (Mater. Res. Soc. Symp. Proc. 71, Pittsburgh, 1986)p 435
    · K. Sera, F. Okumura, H. Uchida, S. Itoh, S. Kaneko and K. Hotta, IEEE Trans. Elec. Dev. 36, 2868 (1989)
    · H. Kuriyama, S. Kiyama, S. Noguchi, T. Kuwahara, S. Ishida, T. Nohda, K. Sano, H. Iwata, S. Tsuda and S. Nakano, IEEE IEDM (1991) p1
    · T. Noguchi, H. Hayashi and T. Oshima, J. Electrochem. Soc. 134, 1771 (1987)
    · C. Spinella, S. Lombardo and F. Priolo, J. Appl. Phys. 84, 383 (1998)
    · C. Hayzelden and J. L. Bastone, J. Appl. Phys. 73, 8279 (1993)
    · J. L. Bastone and C. Hayzelden, Solid State Phenom. 37-38, 257 (1994)
    · J. Jang, J. Y. Oh, S. K. Kim, Y. J. Choi, S. Y. Yoonand C. O. Kim, Nature 395, 481 (1998)
    · T. I Kamins, J. Appl. Phys. 42, 4357 (1971)
    · A. L. Fripp, J. Appl. Phys. 46, 1240 (1975)
    · J. Levinson, F. R. Shepherd, P. J. Scanlon, W. D. Westwood, G. Este and M. Rider, J. Appl. Phys. 53, 1193 (1982)
    · J. Y. Seto, J. Appl. Phys. 46, 5247 (1975)
    · 김현재, ”제4회 TFT-LCD집중교육” (KHU, 서울, Feb. 2004)
    · I-C. Cheng and S. Wagner in Amorphous and Nanocrystalline Silicon Science and Technology, (Mater. Res. Soc. Symp. Proc. 808, San Francisco, 2004)A.4.6
    · J. Puigdollers, A. Orpella, D. Dosev, C. Voz, D. Peiro, J. Pallares, L. F. Marsal, J. Bertomeu, J. Andreu and R. Alcubilla, J. Non-Cryst. Solids 266, 1304 (2000)
    · G. Liu and S. J. Fonash, Appl. Phys. Lett. 62, 2554 (1993)
    · S. Y. Yoon, J. Y. Oh, C. O. Kim and J. Jang, Solid State Commu. 106, 325 (1998)
    · S. Y. Yoon, S. J. Park, K. H. Kim, C. O. Kim and J. Jang, J. Appl. Phys. 87, 609 (2000)
    · G. Rodnoczi, A. Robertson, H. T. G. Hentzell, S. F. Gong and M. A. Hasan, J. Appl. Phys. 69, 6394 (1991)
    · Y. Masaki, T. Ogata, H. Ogawa and D. I. Jones, J. Appl. Phys. 68, 4535 (1990)
    · S. R. Herd, P. Chaudhari and M. H. Brodsky, J. Non-Cryst. Solids 7, 309 (1972)
    · S. W. Lee and S. K. Joo, IEEE Elec. Dev. Lett. 17, 160 (1996)
    · S. W. Lee, Y. C. Jeon and S. K. Joo, Appl. Phys. Lett. 66, 1671 (1997)
    · J. H. Choi, D. Y. Kim, B. K. Choo, W. S. Sohn and J. Jang, Electrochem. Solid-State Lett. 6, G16 (2003)
    · J. C. Kim, J. H. Choi, S. S. Kim, K. M. Kim and J. Jang, Appl. Phys. Lett. 83, 5068 (2003)
    · T. Mizuki, J. S. Matsuda, Y. Nakamura, J. Tagaki and T. Yoshida, IEEE Elec. Dev. 51, 204 (2004)
    · J. S. Im, H. J. Kim and M. O. Thompson, Appl. Phys. Lett. 63, 1969 (1993)
    · J. S. Im and R. S. Sposili, MRS Bulletin/March, 39 (1996)
    · R. S. Sposili and J. S. Im, Appl. Phys. Lett. 69, 2864 (1996)
    · M. A. Crowder, A. B. Limanov and J. S. Im, Mater. Res. Soc. Symp. Proc. 621, (2000)Q.9.6.1
    · A. Hara, F. Takeuchi, M. Takei, K. Yoshino, K. Suga and N. Sasaki, AM-LCD’01, Tokyo, Japan (2001)p227
    · A. Hara, K. Yoshino, F. Takeuchi and N. Sasaki, Jpn. J. Appl. Phys. 42, 23 (2003)
    · S. J. Park, S. H. Kang, Y. M. Ku and J. Jang, “Structur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 silicon on glass crystallized by a CW Nd:YVO4 laser”, Eur. Phys. J.-Appl. Phys. (2004) to be published.
    · L. Pfeiffer, A. E. Gelman, K. A. Jackson, K. W. West, and J. L. Bastone, Appl. Phys. Lett. 51, 1256 (1987)
    · S. J. Park, Ph.D. Thesis (Kyung Hee Univ., Seoul, Korea, 2004)
    · ”Thin Film Transistors;Materials and Processes Vol. 2, Polycrystalline Silicon Thin Film Transistors” edited by Y. Kuo, Kluwer Academic Publishers, US, 2004.
    · M. Okabe, AMLCD `96, IDW`96, (1996)p5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