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내용분해
1. 아브람에게 후사와 땅을 대한 하나님의 언약
1) 후사를 염려하는 아브라함(1-3)
2) 아브라함에게 자녀를 약속(4-6)
2. 횃불 언약
1) 언약 의식을 거행하도록 명하심(7-11)
2) 언약 내용(12-21)
Ⅱ주해
15:1 이 후에 여호와의 말씀이 이상 중에 아브람에게 임하여 가라사대 아브람아 두려워 말라 나는 너의 방패요 너의 지극히 큰 상급이니라
rmoale hz<j}M`B` !r;b]a`Ala, hw:hy]Arb`d] hy:h; hL,aeh; !yrib;D]h` rj`a`
.daom] hBer]h` *r]k;c ]&l; @gem; ykinOa; !r;b]a` ar;yTiAla`
직역: 이후에 이러한 일들이 있었다. 여호와의 말씀이 환상 중에 아브라함에게 임하여 이르시기를 아브람아 너는 두려워하지 말아라 나는 너의 방패요 너의 지극히 큰 상급이다.
이 후에( hL,aeªh` ~yrIåb`D>h; rx:åa) ‘아하르’(rx:åa)는 ‘후’라는 뜻을 가진 전치사로 문자적으로 직역하면 `이러한 사건들 후에`이다. 이와 유사한 구조는 22:1, 20; 39:7; 40:1; 48:1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 문구는 앞에 사건과 어느 정도 지났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다바르(rb`D` )는 `사건`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그 복수가 사용되어 `사건들`이다. 그래서 KJV 에는 After the things 라고 번역 되어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 말하는 ‘일들 W.B.C 에는 15장에 사용되는 단어들은 14장의 전쟁 암시로 ‘방패’, ‘재물’,‘살롬’,‘나오다’ 등의 단어들이 사용되어 진다고 말하고 있다.
’ 14장의 전쟁과 관련된 사건들을 가리킨다고 말 할 수 있고, 사건의 전환구 옥스포더 원어 대 사전에서는 12장부터 14장과 15,16장을 구분하여 아브라함의 생애의 제 1기로서 그가 본토와 친척과 아비집을 떠나 가나안에 정착하기역사의 과정과 복방 4개국 연합군과의 전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살렘왕 멜기세덱으로부터 축복을 받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그 후에 15,16장은 아브라함 생애의 제 2기로서 아브라함이 다시 하나님과 언약을 체결하고 이스마엘 출생과 관련하여 연단을 받아 더욱 성숙한 신앙의 단계로 구분 하고 있는데, 특별히 15장부터는 1기하고 다르게 하나님과 아브람의 대화가 시작이 된다.
로 사용되고 있다. 여호와의 말씀(hw"hy>-rb;d>) 말씀에 해당하는 ‘다바르(rb`D`)’는 성경에 여러 가지 뜻 ‘다바르’는 ‘말씀’(민 11:24), ‘명령’(민 30:1), 이라는 뜻과 더불어 ‘언약’(왕상 2:4 ; 시 33:4)이란 의미로 성경에 매우 자주 사용 되는 용어이다.
으로 사용 되는데, `말`로서의 ‘다바르’는 기본적으로 하나님께서 말씀하셨던 것, 혹은 말씀하시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계시 사역은 간혹 사람에게 혹은 사람 위에 "하나님의 말씀이 임하셨다"로 표현되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선지자들이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을 받을 때 이러한 표현들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삼상 3:1; 삼하 7:4; 사 2:3; 렘 2:4; 겔 12:17; 단 9:2; 호 1:1) 실제로 아브람도 20:7절에서 선지자라고 불린다. 결국 초자연적인 하나님의 계시를 나태내기 위해 많이 사용되었는데, 아브라함에게 임하신 하나님은 그를 통하여 하나님의 뜻을 전하려는 목적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문맥 안에서 사용되는 이상(hz<x]m;) 이라는 단어는 `환상` (vision)이라는 뜻이며, `보다, 바라보다, 예언하다`를 뜻하는 동사 하자(hz"x`)에서 파생된 명사로 계시적 환상 본문에서는 ‘- 안에’ 라는 뜻이 있는 전치사 ‘뻬(ב)’와 정관사 ‘하 ()’ 가 합쳐진 ‘빠’란 표현과 함께 쓰여 아브라함이 하나님께 준비하신 바로 ‘ 그 이상(vision) 안에’ 완전히 몰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을 의미한다. 이는 하나님의 영이 어느 개인에게 `임하는 것과 관련하여 인간의 자연 영역을 초월한 하나님의 계시전달 방법은 민 12: 6; 엘 11:24; 단 8:16 ; 행;2;17; 고후 12:1
꿈, 무아지경, 현실 속에서 실제 현상 속에서 나타나신다. 여기서 두 가지로 말하는 학자들이 있는데 전자는 예언을 받기 위한 잠으로 말하는 학자(Keil, Delitzch)가 있이며, 후자로 외부적인 지각과 함께 일어나는 환상으로 사도바울이 다메섹에서 그리스도를 만난 사건 사도행전 9: 4-7절
에서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 성경
· 마소라본문(MT-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 70인경 (Septuagint, LXX)
·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한글개혁 성경
· 개역 개정판 성경
· 참고 도서
· Gordon J, Wenham, 「W.B.C 주석 창세기(상)」, 황수철 역, (서울 : 임마누엘, 1992).
· 존 칼빈,「구약성경주석 창세기」,(서울 : 성서교재간행사, 1982).
· 박윤선,「성경주석 창세기」,(서울:영음사,. 1982).
· 팔머 로벗슨, 「계약신학과 그리스도」, 김의원 역, (서울 : 임마누엘, 1983).
· 매튜 헨리,「창세기 주석」, 박근용 역, (서울: 기독교문사, 1991).
· 존 H. 세일해머,「서술로서의 모세오경, 상-하」, 김동진, 정충하역(서울 : 새순,1997).
· G. v. Rad, 「국제성서주석 창세기」, 박재순 외 3인역, (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90).
· H. C. 류폴드, 「반즈주석창세기(상)」, 최종태 역, (서울:크리스챤서적, 1987).
· Keil and Delitzsch, 「카일 델리취 구약 주석 창세기」, 고영민 역, (서울, 기독교문사, 1981).
· 존 월튼, 빅터 메튜스, 「IVP 성경 배경 주석」, 정옥배 역, (서울 : IVP).
· 카리스 종합주석 - 창세기
· 에드워드 J. 영,「구약 총론」,오병세,홍반식 역, (서울 : 개혁주의 신행협회, 1998).
· 폴 R. 하우스 ,「구약 신학」, 장세훈 역, (서울 : C.L.C, 2001).
· 목회와신학 편집부,「창세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2003).
· 송재근,「시내산 언약과 모압언약」, (서울: 솔로몬, 1998).
· 강병도 [편], 「카리스 종합주석」, (서울: 기독지혜사, 2003).
· 김정한,「창세기 이야기」, (서울: IVP, 1997).
· 김회권,「모세오경1,2-하나님 나라의 신학 관점에서 읽는」,(서울: 대한기독교서회,2006).
· 송제근, 「오경과 구약의 언약신학」, (서울: 두란노, 2003).
· 김지찬,「구약의 인간관」, (신학지남 제 240호 1994).
· 유재원,「모세오경」,(서울:솔로몬,. 1998).
· 윤상문, 「약속과 축복의 전주곡」,(서울: 기독신문사, 2004).
· 소프트 웨어
· 바이블렉스
· 디럭스바이블
· 바이블 웍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