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공기업민영화

공기업 민영화에 대하여..
3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1.12.05 최종저작일 2011.02
34P 미리보기
공기업민영화
  • 미리보기

    소개

    공기업 민영화에 대하여..

    목차

    1. 공기업의 개념
    2. 공기업의 민영화
    3. 영국 공기업의 민영화 사례
    4. 연구 분석의 틀

    본문내용

    공기업 민영화
    1. 공기업의 개념
    1) 공기업의 개념
    일반적으로 공기업에 대하여 여러 학자들이 여러 가지로 정의를 내리고 있으나, 죤스(L.P.Jones) 교수는 공기업은 “공공단체(public authorities)가 소유하거나 지배하여, 그 생산물이 판매되는 생산주체(productive entity)”라고 정의하고 생산주체라 함은 재화 또는 용역을 생산하며 독자적인 예산을 가진 식별가능한 의사결정주체를 말하며, 공공단체가 소유한다고 함은 중앙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10%이상의 지분율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경우를 말하며, 지배(통제)한다고 함은 최고관리층의 임명권 등을 통하여 내부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힘을 말하고, 생산물을 판매한다는 것은 일정한 가격으로 재화나 용역을 소비자에게 분배할 수 있고 이를 통한 판매수입 즉 매출액으로 영업비용의 50% 이상을 충당할 수 있는 경우라고 설명하고 있다.1)
    백완기 교수는 공기업은 “국가의 기업적 성격을 띠고 있는 업무를 처리하고 있는 공기관이며, 기업성을 띠고 있지만 순수한 사익추구의 형태로만 맡기기에는 곤란한 공공성을 동시에 띠고 있어, 이러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 설치된 기관”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공기업은 일반적으로 기업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으며, 공공성은 소유, 주체, 목적, 서비스, 규제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 인식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즉 공공기관에 의해서 소유(전체적 또는 부분적)되고, 운영주체가 공공기관이고, 목적의 공공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비스의 공공성과 규제의 공공성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보면 공기업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소유를 통하여 지배하고 시장성 있는 서비스나 재화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기업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자율적인 생산주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2) 공기업의 분류
    공기업 중에서 정부 지분이 50%가 넘는 기업은 정부투자기관법으로 ‘정부투자기관’으로 분리, 별도로 관리된다. 이에 반해

    참고자료

    · 姜信逸, 「公企業의 民營化에 관한 硏究」, 서울 韓國開發硏究院, 1988. P.23
    · 남일총?강영재, 「공기업 민영화 방안」, 한국개발연구원, 1999. P. 9
    · 박순빈, 노동자가 공기업 인수한다, 한겨레21 354(2001.4.19):pp.10-13
    · 박영호, OECD 국가들의 공기업 민영화 추진현황, KIEP 세계경제 1999. 10, p. 38
    · 박용삼, 「地方公企業의 經營評價制度에 관한 硏究」, 東國大學校 行政大學 院, 行政學科, 2000.
    · 박훤일, 공기업 민영화의 평가기준, 경영법무 85(2001.4):pp.65-72
    · 삼성경제연구소 編, 공기업 민영화의 주요 사례와 시사점, 노무관리 149(2001.1): pp.14-21
    · 서울연합뉴스, 2001. 02. 26일자
    · 성상경?박상원(1996), 「영국 공기업 민영화의 성과와 시사점」, 조사통계 월보 1996년 12월호, 한국은행
    · 안광일, 「공기업원론」, 서울 : 대명출판사, 1992, p.258.
    · 오연천,「공기업 민영화 이후의 바람직한 기업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 한국 담배인삼공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12
    · 윤영호, 어설픈 한전 민영화, 전력 대란 부를라, 주간동아, 284(2001.5.17) :
    · pp.30-31
    · 全泳日, 「地方公企業의 經營評價에 관한 硏究­서울特別時 投刺機關을 中心으로」, 漢陽大學校 行政大學院, 1997. 12
    · 鄭斗采,「公企業 民營化 方式의 發展方案에 關한 硏究」, 全南大學校 行政大 學院 政策學科, 2000. 2
    · 趙喜洙, 「공기업의 마케팅 정보사용행위에 관한 연구」, 昌原大學校, 經營 學科, 1998. 12
    · 한국경제 2000년 12월 7일자 기사
    · 한국일보 2000. 11. 23일자
    · 함시창, 「영국 공기업 민영화의 교훈」, 經濟發展硏究 제5권 제1호, p. 145
    · 황덕순, 한국 공기업의 민영화와 노사관계, 노동법률 113(2000.10):pp.91-97
    · Beesley, Michael, "Privatization: Reflections on UK Experience," in Michael Beesley ed., Privatization, Regulation and Deregulation, Routledge Press, 1997, pp. 40-54
    · Cook Paul, "Privatization and Regulation", British Council Governance Briefings, 1997
    · Dudly, Geoffrey., "British Steel and Government since Privatization: Policy `Fram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Policy Networks," Public Administration, Vol. 77, No. 1, 1999.
    · Edward A, Suchman, Evaluative Research, New York : Russel Sage Foundation, 1967, p. 7.
    · Fama, E. and M. Jensen, "Separation of Ownership and Control",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26, 1983.
    · Foreman-Peck, James and Robert Milward, Public and Private Ownership of British Industry 1820-1990, Oxford: The Clarendon press, 1994
    · Hutchinson, Gladstone, "Efficiency Gains through Privatization of UK Industries", in Attiat Ott and Keith Hartley eds., Privatization and Economic Efficiency, Edward Elgar, 1991, pp. 87-107
    · Jonce, L. P., Public Enterprise and Economic Development : Korean Case, KDI, 1975, pp.22~42.
    · Liberman, Ira W., "Privatization: The Theme of the 1990s," Columbia Journal of World Business, Vol. 28, 1993
    · Shirley, Mary., "Trends on Privatization", Economic Reform Today, Center for International Private Enterprises, Washington D.C., 1998
    · Thornton, Shelley(1998), "Reforming Public Enterprises--Case Studies: United kingdom," Public Management Services, OECD.
    · World Bank(1992), "Privatization : Eight Lessons of Experience", World Bank Policy Research Bulletin, vol.3, No. 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