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성지역의 풍속과 세시풍속
가. 『신중동국여지승람』「풍속」
나 . 『송도지』「토속」의 내용
다. 『송도속지』「풍속」의 내용
본문내용
우리의 세시풍속은 거의가 농경생활과 관련을 가지고 있다. 고대에 오월과 농공을 마치고 가을에 하늘을 제사한 것이며, 십월을 상달이라 해서 일년 중에서 가장 높은 달, 즉 하늘을 제사하는 달로 여기는 의식이 있었으며 정초에 풍년들기를 예축하고 봄에 역귀를 예방하는 행위 등 세시풍속은 농경 생활을 위주로 하였기 때문이다. 즉, 생업에서 세시풍속이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
생업은 먹고 사는 현실 문제이다. 사람은 생존하기 위해서 계절의 변화를 잘 활용하고 현명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었다. 적기에 파종하고 적기에 거두어들여야 했다. 계절을 놓치면 1년 동안 헛수고를 하거나 소기의 수확을 거둘 수가 없었다. 그래서 계절에 맞추어 관습적으로 농작을 해야 했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생산양식에 맞는 생활양식인 세시풍속(세시풍속)을 이루게 되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