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보상제도의 최근 변화
- 최초 등록일
- 2001.11.29
- 최종 저작일
- 2001.11
- 3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한학기동안 한조가 다같이 열심히 한 발표레폿였습니다.
도움 많이 됬음 좋겠어여~
목차
Ⅰ. 서 론
1. 임금 보상이란 무엇인가?
2. 임금 보상이 필요한 이유(중요성)
3. 임금 보상 제도의 변화 - 보상 제도의 최근 변화 양상
Ⅱ. 본 론
1. 연봉제
(1)의미 1) 개념
2) 우리나라의 연봉제
3) 월급제와 연봉제
(2) 도입 1) 도입현황과 두산 그룹의 예
2) 도입의 필요성
(3) 장·단점 1) 장점
2) 단점
-우리나라의 실태와 문제점 제시
(4) 연봉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2. 스톡옵션
(1) 의미 1) 개념
2) 배경
3) 유형
4) 장·단점
(2) 도입현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
(3) 외국의 성공적 사례 - 미국, 일본
(4) 스톡옵션제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3. 성과배분제
(1) 의미 1) 개념
2) 유형
(2) 도입현황
(3) 장·단점
Ⅲ. 결 론
우리나라 보상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문내용
Ⅰ. 서 론
1. 임금 보상이란 무엇인가?
1) 조직상의 과업을 수행하는 대가로써 각 개인들이 받는 모든 형태의 보수이다.
2) 조직 구성원들에게 경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면서 글들의 태도 와 행동은 물론 그들의 성과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인적자원 기 능이다.
2. 임금 보상이 필요한 이유(중요성)
기업이나 사회에서 일한 만큼의 대가를 받는 것은 당연하다. 이를 임금이라 하는 데, 구성원들의 공헌에 대해 임금 등의 경제적인 대가와 안정감이나 지위 등 비경 제적인 대가를 주게 되는데 공정하고 형평성 있는 임금보상을 해주는 것은 현실적 으로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집단적 교섭이나 회사의 방침에 의한 평균임금인상률 의 결정도 중요하지만 보상이 더 나은 성과를 유도하고 구성원으로 하여금 근로의 욕을 가지도록 동기부여하기 위해서는 성과와 보상간의 결속관계를 강화할 수 있 도록 개인별 임금보상을 어떠한 방향으로 시행할 수 있는지가 동기부여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 자료
1. 목표에 의한 관리 (신철우, 새로운 제안, 1999.)
2. 연봉제와 관리목표 (조윤형, 범한 출판사, 1999.)
3. 연봉제 도입, 운영 실무 (도유택, 한국 늉률협회, 1997.)
4. 인사행정론 (유민봉, 문영사, 1997.)
5. 경제 정책 (한승수, 동아출판사, 1994.)
6. 경제정책론 (김윤한, 한국방통대 출판부. 1996.)
7. 인사경영 정보광장 (http://www.webfriend.pe.kr/)
8. 오즈컨설팅 (http://www.ozcon.co.kr/)
9. 중앙일보 이코노미스트 제 482호 (http://economist.joongang.co.kr/)
10. 디지틀 조선일보 경제기사 (http://www.chosun.com/)
11. 한겨례 신문 (http://www.hani.co.kr/)
12 벤쳐플라자 (http://www.ventureplaza.co.kr/)
13. http://www.helloinsa.com/
14. http://www.kimsconsulting.co.kr/
15. http://www.venturevalley.co.kr/
16. http://www.chollian.net/
17. http://i-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