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언어학] 비교언어학
- 최초 등록일
- 2001.11.28
- 최종 저작일
- 2001.11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비교 언어학이란?
비교언어학의 발달사
어족수형도 (language family tree)와 파상설 (WAVE THEORY)
어족에 대한 소개
본문내용
Q비교 언어학이란?
? 공통조어(共通祖語)를 재건하여 하위의 여러 언어와의 역사적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사비교언어학이라고도 한다. 연구의 방법과 목적에 있어서, 여러 언어의 다양성을 연구하는 언어학의 다른 부문, 즉 언어유형론이나 대조언어학(對照言語學)과는 다르다.
언어의 기호는 자의성(恣意性)을 띠고 있어서 언어형식(형태)과 언어내용(의미) 사이에는 아무런 필연적인 연관이 없다. 이러한 경우, 몇몇 언어에 동일한 또는 서로 유사한 형식이 동일한 또는 서로 유사한 내용을 나타내 보이는 것에 주목하여, 그 언어들이 공통의 기원에서 유래하였다고 보는 가설(假說)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전제에 반하는 경우에는 연구대상에서 제외된다. 언어학사적(言語學史的)인 면에서 보면, 이러한 비교언어학의 연구는 18세기 말엽 영국의 동양학자였던 W.존스경(卿)이 인도의 고전어인 산스크리트가 서양의 고전어인 그리스어 ·라틴어와 어근(語根) ·문법 등 여러 면에서 매우 유사하며, 따라서 이것은 아마도 동일한 기원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발표로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된 학문분야이다. 이것은 19세기에 매우 융성하였으며, 소장문법학파의 대가 H.파울의 《언어사 원리(言語史原理)》에서 집대성되었다. 이 때에는 역사비교언어학만이 언어학으로 인식될 정도였으나, F.소쉬르 이후로는 공시언어학(共時言語學)과 대등한 언어학의 한 분야로서 연구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