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에 대한 생각
- 최초 등록일
- 2001.05.25
- 최종 저작일
- 2001.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자료 정리 뿐만 아니라 제 개인적 의견도 적었습니다.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 7차 교육과정이란?
1)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을 구성
2)교육과정 편제에 교과군의 개념을 도입
3)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
4)재량 시간을 신설, 확대
5)이수 과목 수를 축소, 교과별로 학습내용의 최적화를 도모
6)창의성과 정보 능력 배양을 강조
7)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체제를 도입
Ⅱ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비판
가. 수요자 중심의 교육
나.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다. 수준별 교육과정
라.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
Ⅲ 나의 생각
본문내용
그럼 지금부터 제 7차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자.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제 7차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은 '21세기의 정보화, 세계화 시대를 주도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을 기본 방향으로 잡고 있다. 우리는 7차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에 들어가기 앞서 7차 교육과정이 무엇인지 알아 두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제 7차 교육과정이란 앞에서 말해진 바와 같이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열린 교육 사회, 평생 학습 사회' 건설을 목표로 교육의 방향이 결정되었다. 그리고 그것을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사항들이 결정되었는 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참고 자료
손정숙(1999). EBS `학교…` 실상과 처방 다각적 분석. 대한매일신문, 1999. 10. 15.
황윤한(1999). 잠은 학교, 공부는 학원, 학교교육 공동화 가능성. 미래교육신문 1999.11.24.
황용길(1999) 열린 교육이 아이들을 망친다. 조선일보사
인터넷 한겨레
동아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