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간척사업과 환경문제
- 최초 등록일
- 2001.05.13
- 최종 저작일
- 2001.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서론
본론
1.금강 및 새만금 연안 해양환경 변화
◇ 새만금 간척사업
◇ 금강 하구 및 담수 plume
◇ 새만금 연안 환경(현재)
◇ 거대한 간척사업의 손익
◇ 갯벌의 변화와 운명
2.서해의 수괴
◇서해의 조석
◇퇴적물 이동 예측
◇서해안의 변화
3. 새만금 사업의 환경문제적 접근
결론
본문내용
간척이란, 바닷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제방을 쌓고, 제방 안의 물을 제거하여 해수면 아래의 땅을 이용 가능한 땅으로 바꾸는 작업이다. 간척사업은 조석 간만의 차가 커서 넓은 갯벌이 발달하고,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여, 해안 앞쪽에 연안 사주가 있거나 섬이 많이 있을 경우 유리하다. 이러한 간척사업은 농업용지, 공업용지 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토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잇점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간척으로 인한 해안생태계의 파괴등 간척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새만금 간척종합개발사업은 국토확장, 산업용지 및 농지조성, 치수 등의 목적으로 군산과 부안 및 김제 일대에 33Km 규모의 방조제를 축조하여 산업용지 및 농지를 조성하고 용수를 확보한다는 대규모 간척사업이다. 계획당시의 보고서에는 간척사업으로 대규모의 산업용지 및 농업용지의 확보로 서해안 일대의 발전이 기대되어 국토의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고 중국과의 교역 증대로 필요성이 높아진 서해안 개발로 경제적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보고서는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 면에서도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결국 현재로서는 사업소요 예산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그나마 경제적 실효성도 잃고 있다. 여기에 갯벌의 파괴로 인한 경제적, 환경적 손실을 더하면 추진할 이유를 더 이상 찾기 힘들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