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화 운동의 목표와 실제적 내용 및 그 한계점
- 최초 등록일
- 2000.09.27
- 최종 저작일
- 2000.09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I.들어가는 말
II.한국 근대화 운동
1.역사적.시대적 배경
1) 19세기 중엽 대내.외적 정세
2) 대원군의 개혁 정치와 개항(개화 운동과 척사 운동)
3) 서양의 무력 침공
4) 민씨 정권의 비자주적 문호 개방 정책
2.목 표
3.내 용
1) 임오 군란
2) 갑신 정변
3) 동학 농민 운동
4) 갑오 개혁
5) 독립 협회
6) 애국 계몽 운동
4.한 계 점
III.나가는 말
IV.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한국 역사에 있어서 근대화로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 계기는 17세기 후반에 시작하여 18세기에 그 학문과 사상이 발전되어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쳤던 실학을 들 수 있다. 이리하여 점차 조선 시대의 양반 지주와 상민 농민이라는 기본 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된 전근대적 봉건 체제를 크게 변화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19세기에 들어와 외세의 급속한 침투로 더욱 가세되어졌다.
그러나 이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너무나도 소극적이었다. 즉, 외세의 문물을 쉽게 수용할 수 없었고 오랜 세월을 불교와 유교 문화에 익숙했던 이들은 기독교와 천도교에 대해 박해를 가하기도 했다. 물론 이때까지만 해도 아직 서양 문물을 접해 본 이가 드물어 그에 대한 식견이 없음과 외세의 침투 모습에 깊은 반감을 느끼며 우리 문화를 고수하고자 쇄국정책을 쓸 수 밖에 없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러나 이런 와중에도 나라의 근대화에 관심을 가지고 잇던 많은 젊은이들이 비록 외세에 힘입어 그 뜻을 이루려하긴 했어도 그들의 노력의 결과로 점차 문호 개방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여기에서, 개항기에서 일제 식민지 이전까지의 한국 근대화 운동의 실제적 내용을 다루며 그 목표와 한계점을 말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없음